One of the first issues raised when it comes to eliminating unhealthy fast food is whether it is necessary to completely remove it from the diet.
건강에 좋지 않은 패스트푸드를 제거하는 것에 관한 한 제기되는 최초의 문제 중 하나는 그것을 식단에서 완전히 없애는 것이 필요한가의 여부이다.
Many people have turned down my vice-busting approach to weight management because they don’t think they need to completely give up the foods they like.
많은 사람들이 체중 조절에 대한 나의 나쁜 버릇 깨기 접근법을 거절했는데, 그들은 자신이 좋아하는 음식들을 완전히 포기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While I’m not saying you can’t enjoy food, the problem is that you may have been enjoying it too much at the expense of healthy eating.
나는 여러분이 음식을 즐길 수 없다고 말하려는 것은 아니지만, 문제는 여러분이 건강한 식사를 희생하고서 그것을 너무 많이 즐겨 왔을지도 모른다는 것이다.
You need to eat to fuel your body and its functions, and while eating is pleasurable, I can’t tell you that it’s okay to have some of this or that food vice.
여러분은 여러분의 몸과 그것의 기능에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먹을 필요가 있고, 먹는 것이 즐겁기는 하지만, 나는 여러분에게 이러저러한 나쁜 음식 습관을 조금씩 갖고 있어도 괜찮다고 말할 수 없다.
If you allow yourself some, you’ll probably want more! So let me remind you of what I’ve always said about this so-called eating in moderation.
여러분이 스스로에게 조금 허용한다면 여러분은 아마 더 많은 것을 원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나는 여러분에게 이 소위 적당히 먹는 것에 대해 내가 항상 말해 왔던 것을 상기시키고자 한다.
It is very, very difficult to have just one bite of the food you love without slipping back to old habits and addictions.
슬그머니 예전의 습관과 중독으로 다시 돌아가지 않고 당신이 좋아하는 음식을 단 한입만 먹는 것은 지극히 어렵다.
The Akimel O’odham and Tohono O’odham (the peoples that European settlers called Pima and Papago) of Arizona were virtually free from diabetes until two generations ago.
Arizona 주의 Akimel O’odham과 Tohono O’odham(유럽 정착민들이 Pima와 Papago라고 불렀던 종족들)은 2세대 전까지 사실상 당뇨병이 없었다.
Before the twentieth century, they had lived on desert foods such as mesquite meal, wild greens, and cactus buds and fruits and on traditional crops: maize, locally grown wheat, beans, squash, and chiles.
20세기 이전, 그들은 메스키트 식사, 야생 식물, 선인장 눈과 과일 같은 사막 음식과 옥수수, 지역에서 기른 밀, 콩, 호박, 그리고 칠리 등 전통적인 곡물을 먹고 살았다.
In the lat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ies, they lost most of their land and almost all the water needed to irrigate what land they kept.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에 그들은 땅 대부분을 잃었고 자신들이 가지고 있던 얼마 안 되는 땅에 물을 대는 데 필요한 거의 모든 물을 잃었다.
After World War Ⅱ, they were progressively incorporated into the wider society of Arizona.
제2차 세계 대전 후에 그들은 점진적으로 더 넓은 Arizona 주 사회에 통합되었다.
This led to the expected dietary changes.
이것은 예측된 식습관의 변화를 가져왔다.
Alcoholism, previously very rare, became more common.
이전에는 매우 드물었던 알코올 중독이 더 흔해졌다.
Sugar and white flour replaced traditional foods.
설탕과 흰색 밀가루가 전통 식품을 대체했다.
Today most adults suffer from diabetes, and life expectancy is falling as the disease extracts its dreadful toll in heart and kidney failure and in necrosis.
오늘날 대부분의 성인은 당뇨병을 앓고 있고 질병이 심부전과 신부전, 그리고 괴사로 인한 끔찍한 희생자 수를 끌어내고 있어서 기대 수명이 떨어지고 있다.
Collective memory is central to understanding how identities are formed in society.
집단 기억은 사회에서 정체성이 형성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에 중추적이다.
Socializing into a group means adopting not only shared norms, but also learning a group’s historical memory.
어떤 집단으로 사회화하는 것은 공유하고 있는 규범을 채택하는 것뿐만 아니라 집단의 역사적 기억을 학습하는 것도 의미한다.
Whereas small-scale groups often transmit historical memory orally,
소규모 집단은 흔히 역사적 기억을 구두로 전하지만, 국가와 같은 대규모 집단은, Benedict Anderson의 용어로, ‘상상의 공동체’를 창출하기 위하여 글로 된 텍스트에 의존한다.
large-scale groups such as nations rely on written texts to create, in Benedict Anderson’s term, “imagined communities.” In speeches, monuments, ceremonies, and holidays, national elites invoke a heroic version of the nation’s past.
연설, 기념물, 의식, 그리고 공휴일로 국가의 엘리트들은 영웅적 버전의 국가의 과거를 환기시킨다.
The version inspires and unifies diverse and divided citizens, encouraging patriotism, loyalty, and sacrifice for the national cause.
그 버전은 국가의 대의명분을 위해 애국심과 충성심과 희생을 고무하면서 다양하고 분할된 시민들을 고취하고 통합한다.
Collective memory is therefore inherently political, as dominant groups in society struggle over how collective memory is produced and represented in official records and in public spaces.
집단 기억은 그러므로 본질적으로 정치적인데, 집단 기억이 공식적인 기록과 공공장소에서 만들어지고 기술되는 방식을 놓고 사회의 유력한 집단들이 다투기 때문이다.
Consider a political map of the world: its most striking feature is the division of the entire earth’s surface into over 190 neatly defined territorial units, namely states.
세계의 정치 지도를 고찰해 보라. 그것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지구 전체의 표면이 190개가 넘는 깔끔하게 분명히 경계가 나타나는 영토 단위로, 즉 국가로 분할된 것이다.
To a student of politics in the Middle Ages such a representation of the world, which gave primacy to borders and boundaries, would make little sense.
중세의 정치학 학도에게는 국경과 경계를 최고로 여기는, 세계에 대한 그런 묘사는 별로 타당하지 않았을 것이다.
Historically, borders are a relatively recent invention, as is the idea that states are completely independent, self-governing, territorially defined political communities or organizations.
국가는 완전히 독립적이고 스스로 통치하고 영토상으로 범위가 정해진 정치 공동체 혹은 조직이라는 생각이 그러하듯이, 역사적으로 보아 국경은 상대적으로 최근에 발명된 것이다.
Although today a convenient fiction, this presumption remains central to traditional state-centric conceptions of world politics as the pursuit of power and interests between independent states.
오늘날 편리한 허구이기는 하지만, 이런 가정은 독립 국가들 사이의 권력과 이해의 추구라는, 세계 정치에 대한 전통적인 국가 중심 개념에 여전히 핵심적이다.
Globalization, however, calls this state-centric conception of world politics into question.
하지만 세계화는 세계 정치에 대한 이런 국가 중심 개념에 의문을 제기한다.
Taking globalization seriously therefore requires a conceptual shift in the way we think about world politics.
그러므로 세계화를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것은 세계 정치에 대해 우리가 생각하는 방식에 개념상의 변화를 요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