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ading Expert 5 [2020] - U01-06
248 카드 | netutor
세트공유
The Carnival of Blacks and Whites may not sound like a colorful event, but it actually is!
흑과 백의 축제는 다채로운 행사처럼 들리지 않을 수도 있지만, 사실은 다채롭다!
This annual festival is held in Pasto, Colombia, from January 4th through 6th and includes parades with elaborately designed floats and costumes.
이 연례행사는 1월 4일부터 6일까지 콜롬비아의 파스토에서 열리고, 공들여 디자인된 장식 차량 및 의상으로 이루어진 행진을 포함한다.
It is also one of the oldest carnival celebrations in South America and was officially declared part of Colombia’s cultural heritage in 2002.
이것은 남미에서 가장 오래된 축제 행사 중 하나이기도 하며, 2002년에 콜롬비아 문화유산의 일부로 공식 선언되었다.
The festival’s earliest origins can be traced back to the 17th century.
축제의 초창기 기원은 17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After a slave rebellion in the city of Remedios in 1607, the region’s slaves began to demand a special day off.
1607년에 레메디오스라는 도시에서 노예 반란이 있었던 이후, 그 지역의 노예들은 하루의 특별 휴일을 요구하기 시작했다.
In response, the king of Spain, who ruled Colombia at that time, declared January 5th a day on which all slaves could enjoy temporary freedom.
이에 대해, 그 당시 콜롬비아를 지배하던 스페인 왕은 1월 5일을 모든 노예들이 일시적인 자유를 즐길 수 있는 날로 선언하였다.
Upon hearing the news, the region’s slaves celebrated with music and dancing, blackening the city’s white walls with coal.
그 소식을 듣자마자, 그 지역의 노예들은 석탄으로 도시의 하얀 벽을 검게 만들며 음악과 춤으로 축하했다.
Their masters even painted their own faces black to take part in the fun.
그들의 주인들은 즐거움에 동참하기 위해 심지어 자신의 얼굴을 까맣게 칠하기까지 했다.
The next day, the slaves responded by painting their faces white.
다음 날에는 노예들이 자신의 얼굴을 하얗게 칠하는 것으로 응답했다.
In this way, a great tradition began.
이러한 방식으로, 한 위대한 전통이 시작되었다.
Sometime around the mid-19th century, this tradition was brought to Pasto, and the modern Carnival of Blacks and Whites was born.
19세기 중반 언젠가, 이 전통이 파스토에 들어오게 됐고, 현대의 흑과 백의 축제가 탄생했다.
Today, it begins with a big parade on January 4th.
요즘에는 1월 4일에 큰 행렬로 축제가 시작된다.
People dress up in colorful, old-fashioned clothes and walk through the city’s streets.
사람들은 형형색색의 복고풍 옷으로 차려입고 도시의 거리를 걷는다.
The two main events of the carnival are held on January 5th and 6th.
축제의 두 가지 주요 행사는 1월 5일과 6일에 열린다.
First is the Day of the Blacks.
첫 번째는 ‘흑의 날’이다.
People of all races and ethnicities cover themselves with black paint, and orchestras give free concerts in the street.
모든 인종과 민족적 배경의 사람들이 검은색 페인트로 자신을 칠하고, 관현악단은 거리에서 무료 공연을 한다.
On the next day, the Day of the Whites, people throw white powder on one another.
다음 날인 ‘백의 날’에는 사람들이 서로에게 하얀 가루를 던진다.
These two events symbolize equality and integrate all of Colombia’s citizens, regardless of race or ethnicity.
이 두 가지 행사는 평등을 상징하며 인종이나 민족성에 상관없이 모든 콜롬비아 시민들을 통합시킨다.
The Carnival of Blacks and Whites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liveliest festivals in South America, full of friendly people who welcome visitors from all across the globe.
흑과 백의 축제는 남미에서 가장 활기가 넘치는 축제 중 하나로 여겨지며, 전 세계에서 온 방문객들을 환영하는 상냥한 사람들로 가득하다.
It is a time when everyone can come together to have fun.
이 축제는 모든 사람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위해 다 같이 모일 수 있는 시간이다.
But more importantly, it is a celebration of Colombia’s racial diversity and unity.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이것이 콜롬비아의 인종적 다양성과 통합을 기념한다는 것이다.
The ancient Egyptians are remembered for their impressive tombs and monuments.
고대 이집트인들은 인상적인 무덤과 기념물로 기억된다.
There is, however, a less famous piece of ancient Egyptian life that is a part of every Egyptian home today.
그러나 오늘날 모든 이집트 가정의 일부인, 고대 이집트인의 삶에서 덜 유명한 것이 있다.
It is aish baladi, a flatbread made from wheat.
그것은 밀로 만든 플랫브레드인 아이시 발라디이다.
In ancient Egypt, wheat was one of the main sources of food and was considered a sacred plant of the gods.
고대 이집트에서 밀은 주요 식량원 중의 하나였고 신의 신성한 식물로 여겨졌다.
The wheat-growing tradition brought about aish baladi, which has remained a unique part of Egyptian culture.
밀을 재배하는 전통은 아이시 발라디를 만들어 냈는데, 그것은 이집트 문화의 독특한 부분으로 남아 있다.
Aish baladi can be found everywhere in Egypt.
아이시 발라디는 이집트 어디에서나 볼 수 있다.
In Cairo, you are never far from someone selling freshly baked aish baladi.
카이로에서 여러분은 갓 구워진 아이시 발라디를 파는 사람에게서 절대로 멀리 떨어져 있지 않다.
The pieces of flatbread are round and puffed up with air in the middle.
플랫브레드는 둥글고 가운데는 공기로 불룩하다.
They have cracked wheat on top and come in different textures, from soft and fluffy to dry.
그것들은 위에 빻은 밀이 있으며 부드럽고 푹신한 것부터 마른 것까지 여러 질감으로 나온다.
Because they are made from whole wheat, they have the nutritional benefits of this grain’s high fiber, vitamin, and mineral content.
통밀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것들은 이 곡물이 지닌 높은 섬유질, 비타민, 그리고 미네랄 함량에 대한 영양상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At mealtime, aish baladi is perfect for making sandwiches or scooping up soft food and sauces.
식사 때에, 아이시 발라디는 샌드위치를 만들거나 부드러운 음식과 소스를 퍼내는 데 안성맞춤이다.
Archaeology has shown that aish baladi has been around for a very long time.
고고학은 아이시 발라디가 아주 오랫동안 존재해 왔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Artwork in ancient tombs includes pictures of food that looks just like the round flatbread made today, and even preserved pieces of bread have been found.
고대 무덤의 예술 작품은 오늘날 만들어지는 둥근 플랫브레드와 똑같아 보이는 음식의 그림을 담고 있으며, 심지어 보존된 빵 조각들도 발견되었다.
The ancient Egyptians made bread by adding wild yeast to their dough and baking the dough in ovens made from the Nile’s red mud.
고대 이집트인들은 반죽에 야생 효모를 넣고, 그 반죽을 나일강의 붉은 진흙으로 만든 화덕에 넣고 구워서 빵을 만들었다.
The recipe for aish baladi and the method of baking it have stayed the same for thousands of years.
아이시 발라디의 조리법과 그것을 굽는 방법은 수천 년 동안 그대로 유지되어 오고 있다.
The importance of bread since ancient times has influenced the Egyptian language and culture.
고대부터 빵의 중요성은 이집트의 언어와 문화에 영향을 주었다.
Even the name aish baladi reflects this.
아이시 발라디라는 이름도 이 점을 반영한다.
It is much different from the typical Arabic word for “bread.”
그것은 ‘빵’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아랍어와 매우 다르다.
It is formed from words meaning “traditional” (baladi) and “life” (aish).
그것은 ‘전통적인’과 ‘삶’을 의미하는 단어들로부터 형성되었다.
During the Egyptian revolution of 2011, the slogan “bread, freedom, and social justice” was used because bread stands for all the basic needs of life.
2011년 이집트 혁명 도중 ‘빵, 자유, 사회적 정의’라는 구호가 사용되었는데, 빵이 삶의 모든 기본적인 욕구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Like many foods, aish baladi is more than just a meal.
많은 음식들처럼, 아이시 발라디는 단순한 식사 이상의 것이다.
It represents generations of tradition and thousands of years of history.
그것은 세대에 걸친 전통과 수천 년의 역사를 나타낸다.
And as it still plays a large role in modern life, its story continues to grow.
아이시 발라디가 여전히 현대의 삶에서 큰 역할을 하기 때문에 그것의 이야기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Dementia is a well-known disorder that affects memory and concentration.
치매는 기억력과 집중력에 영향을 끼치는 잘 알려진 장애이다.
Dementia patients often find it hard to remember simple things, such as phone numbers and people’s names.
치매 환자들은 전화번호나 사람들의 이름처럼 간단한 것들을 기억하는 데 자주 어려움을 느낀다.
While it is typically diagnosed in the elderly, there has been a recent and troubling increase in dementia-like symptoms in teenagers and adults in their 20s and 30s.
치매가 일반적으로 노인들에게 진단이 되기는 하지만, 최근에 10대 및 20대와 30대 성인에게도 치매와 비슷한 증상이 늘고 있어 문제가 되고 있다.
This new type of dementia has been called “digital dementia.”
이런 새로운 유형의 치매는 ‘디지털 치매’라고 불려오고 있다.
Why do we call it “digital”?
왜 ‘디지털’이라고 부르는가?
It has been blamed on the excessive use of smartphones and long hours spent in front of television and computer screens.
그것은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과, TV와 컴퓨터 화면 앞에서 긴 시간을 보내는 것 때문으로 여겨지고 있다.
When these devices are overused, the left side of the brain, which is responsible for logic and reasoning, tends to get overworked.
이러한 기기들이 지나치게 사용되면, 논리 및 추론을 담당하는 좌뇌가 과도하게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Meanwhile, the right side of the brain, which supports cognitive functions like memory, attention, and the processing of ideas, is hardly utilized.
그동안, 기억, 집중, 사고 처리와 같은 인지 기능을 돕는 우뇌는 거의 활용되지 않는다.
This imbalance in how the brain is used leads to memory problems.
뇌가 사용되는 방법에 있어서 이러한 불균형은 기억력 문제를 야기한다.
Because of this, experts in some countries have recommended banning smart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from classrooms.
이 때문에 몇몇 국가의 전문가들은 교실에서 스마트폰과 다른 전자 기기를 금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In addition, people these days tend to store phone numbers and other bits of information on their smartphones instead of in their minds.
또한, 사람들은 요즘에 전화번호와 다른 단편적인 정보들을 머릿속 대신 스마트폰에 저장하는 경향이 있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resulting lack of mental stimulation hinders memory and brain development.
그 결과로 발생한 정신적 자극의 결핍이 기억력과 두뇌 발달을 저해한다는 것이 제기되어 왔다.
This idea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in South Korea, where over 90% of teenagers own a smartphone, there has been an alarming increase in cases of digital dementia.
이 견해는 10대의 90% 이상이 스마트폰을 소유하고 있는 한국에서 디지털 치매 발생이 걱정스러울 정도로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에 의해 뒷받침된다.
So what can you do to fight digital dementia? First, try to use digital devices only when you need to.
그러면 디지털 치매에 맞서 싸우기 위해 여러분은 무엇을 할 수 있을까? 우선, 필요할 때만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도록 노력하라.
Also, memorizing phone numbers of family members and friends is a good way to keep your memory sharp.
또, 가족과 친구들의 전화번호를 외우는 것도 기억력을 예리하게 유지하는 좋은 방법이다.
Reading books and keeping a diary are great activities for keeping the brain stimulated, too.
책을 읽는 것과 일기를 쓰는 것도 두뇌를 지속적으로 자극하는 좋은 활동이다.
Finally, aerobic exercise enhances blood circulation in the brain and is good for your mental health.
마지막으로, 유산소 운동은 두뇌의 혈액 순환을 강화하고 정신 건강에도 좋다.
These activities can help you lead a healthy life and avoid becoming a victim of digital dementia.
이러한 활동들은 여러분이 건강한 생활을 하고 디지털 치매의 희생자가 되는 것을 막도록 도와줄 수 있다.
Sometimes, two people can look at the same problem and come up with two very different methods for solving it.
때로는 두 사람이 같은 문제를 보고 두 개의 매우 다른 해결 방법을 생각해 낼 수 있습니다.
Such is the case with practitioners of Western medicine and those of Chinese, or Oriental, medicine.
서양 의료진과 중국, 즉 동양 의료진의 경우가 바로 그러하죠.
Our reporter sat down with two physicians to learn more about what sets them apart.
우리 기자가 무엇이 그들을 구분 짓는지 더 알아보기 위해 두 명의 의사와 좌담을 했습니다.
Dr. Smith, explain for us the general approach that Western physicians take toward medicine.
스미스 박사님, 서양의 의사들이 의학에 대해 갖는 일반적인 접근법에 대해 설명해 주세요.
Modern medicine evolved around the same time as the other physical sciences.
현대 의학은 다른 자연 과학과 같은 시기에 발달했습니다.
Because we view it as a science, our medical understanding is guided by carefully designed laboratory experiments.
우리는 의학을 과학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의학에 대한 우리의 이해는 신중하게 계획된 실험실 실험에 좌우됩니다.
Likewise, the treatments we develop often come from the laboratory in the form of chemically synthesized drugs.
마찬가지로, 우리가 개발하는 치료약은 대개 실험실에서 화학적으로 합성된 약품의 형태로 나옵니다.
Dr. Wu, how does Chinese medicine differ from what Dr. Smith just described?
우 박사님, 동양 의학은 방금 스미스 박사님이 설명하신 것과 어떤 차이가 있습니까?
If Western medicine is a science, Chinese medicine can be thought of as an art.
서양 의학이 과학이라면, 동양 의학은 예술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Just as art is based on cultural tradition and evolves through the centuries, so does our practice of medicine.
예술이 문화적 전통에 기반을 두고 여러 세기를 거쳐 발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우리의 의료술도 그러합니다.
Moreover, Chinese treatments typically utilize the careful administration of pure, natural herbs rather than synthesized drugs.
또한, 동양의 치료약은 보통 합성된 약품보다는 순수한 자연의 약초를 주의해서 투여하는 것을 이용합니다.
Dr. Smith, what is one drawback of the Western approach to medicine?
스미스 박사님, 서양식 의학 접근법의 한 가지 단점이라면 뭐가 있을까요?
Unfortunately, we view the human body as a machine, and it follows that each illness is seen as a defect in the machine.
안타깝게도, 우리는 인체를 하나의 기계로 간주하고, 그래서 각각의 질병을 기계의 결함으로 보게 됩니다.
Repair or replace the defective part, and the machine should function normally.
결함이 있는 부분을 수리하거나 교체하면, 기계는 정상적으로 기능하게 됩니다.
However, because the human body is a complex set of systems linked with one another, the true nature of how it works as a whole is not fully understood yet.
하지만, 인체는 서로 연결된 복잡한 조직망이기 때문에, 인체가 전체로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 실체를 아직 완전히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
Dr. Wu, what about a weakness in the Chinese approach?
우 박사님, 동양식 접근법의 단점은 어떻습니까?
I don’t think we put enough emphasis on studying and investigating the causes of specific illnesses.
특정 질병의 원인에 대한 연구 및 조사에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Western doctors have powerful diagnostic tools at their disposal, something that many Chinese doctors either lack or simply aren’t interested in.
서양 의사들은 효과적인 진단 도구를 재량껏 사용하는데, 이건 많은 동양 의사들에게 부족하거나 그들이 관심을 갖지 않는 점이죠.
What are your predictions for the future of medicine?
여러분은 앞으로의 의학에 대해 어떻게 예측하십니까?
I believe both traditions will work together more closely in the future.
미래에는 두 전통이 좀 더 긴밀히 협력할 것으로 생각합니다.
Both have important innovations to offer, and in combination they could be quite effective.
둘 다 중요한 혁신을 일궈낼 것이고, 이 둘이 협력한다면 상당히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Yes, I agree.
네,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You probably use a Facebook or Twitter account to keep in touch with your friends and share pictures and information from your daily life.
여러분은 친구들과 연락하거나 일상 사진과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아마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계정을 사용할지도 모른다.
But social media has the potential to do much more.
하지만 소셜 미디어는 훨씬 많은 것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
For example, some people have started using social media to give a voice to those who are less fortunate.
예를 들면, 어떤 사람들은 불우한 사람들에게 발언권을 주려고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기 시작했다.
In this way, it can be more than just a fun way to share information; it can also make a real difference in people’s lives.
이렇게 소셜 미디어는 단지 정보를 공유하는 재미있는 방법 그 이상이 될 수 있고, 사람들의 삶에 실제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Internationally recognized activist Mark Horvath has been doing just that.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사회 운동가 마크 호바스가 바로 그것을 해 오고 있다.
Since starting a website in 2008, he has been sharing the stories of homeless men and women across the United States and Canada.
2008년에 웹 사이트를 개설한 이후 그는 미국과 캐나다 전역에 걸쳐 집 없이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공유해 왔다.
He started out by interviewing homeless people in Seattle and posting the conversations on YouTube.
그는 시애틀에서 노숙자들을 인터뷰하고, 그 대화를 유튜브에 게시하면서 시작했다.
He was encouraged by the large number of views the videos got, and once he realized he had supporters, he went on a road trip and interviewed people across the United States.
그는 영상의 높은 조회수에 용기를 얻었고, 지지자들이 있다는 것을 깨닫자 자동차 여행을 하며 미국 전역에 있는 사람들을 인터뷰했다.
Then in 2010, he created another website to help homeless people get involved with social media, tell their stories, and contact support services.
그리고 그는 2010년에 노숙자들이 소셜 미디어에 참여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전하고, 지원 서비스와 접촉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또 다른 웹 사이트를 개설했다.
Horvath has said that when homeless people have a problem, no one wants to listen to them.
호바스는 노숙자들에게 문제가 있을 때 아무도 그들에게 귀 기울이고 싶어 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He knows this because he was once homeless himself.
그 역시 한때 노숙자였기 때문에 이 점을 알고 있다.
He has said that, at that time, he felt more powerless than anyone could ever imagine.
그 당시 그는 상상하는 것 이상으로 더 무기력함을 느꼈다고 말했다.
But now, thanks to his activism, people are listening.
하지만 지금은 그의 활동 덕분에 사람들이 귀를 기울이고 있다.
Many have even started to take action.
많은 사람들이 심지어 행동으로 옮기기 시작했다.
When people in Calgary saw his interview with a man named Donny, who had lived on the street for 21 years, they helped him find housing.
캘거리에 있는 사람들은 거리에서 21년간 생활했던 도니라는 남자와 그의 인터뷰를 보고 그 남자가 집을 찾을 수 있게 도와주었다.
Then after watching the videos on Horvath’s website, a farmer in Arkansas donated 40 acres of land to be used to produce food for low-income families.
또, 호바스의 웹 사이트에서 영상을 보고 난 뒤 아칸소 주에 있는 한 농부는 저소득층 가정을 위한 식량을 생산하는 데 사용되도록 40에이커의 땅을 기부했다.
While social media is most often used to simply share one’s opinions and ideas about daily life, its possibilities are endless.
소셜 미디어가 일상생활에 대한 개인의 의견이나 생각을 단순히 공유하는 데 가장 흔히 사용되기는 하지만, 그 가능성은 무한하다.
Most people just think of the homeless as street people begging for money.
대부분의 사람들은 노숙자들을 그저 돈을 구걸하는 거리의 사람으로 생각한다.
They rarely hear or think about those people’s struggles or their attempts to rebuild their lives.
그들은 그 사람들의 분투나 삶을 재건하려는 그들의 노력에 대해서는 거의 듣지도, 생각하지도 않는다.
Horvath’s work is a great example of how social media can shatter stereotypes and give a voice to those in need.
호바스의 일은 소셜 미디어가 고정 관념을 깨부수고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발언권을 줄 수 있는 방법을 보여주는 아주 좋은 예이다.
When discuss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elevision programs, people generally refer to the number of viewers.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성공이나 실패에 대해 논할 때, 사람들은 대개 시청자의 수를 언급한다.
This is an important statistic, as companies use it to make advertising decisions.
이것은 기업들이 광고 결정을 하는 데 사용하므로 중요한 통계치이다.
But have you ever wondered how this number is determined?
그런데 여러분은 이 숫자가 어떻게 정해지는지 궁금하게 여긴 적이 있는가?
There is actually an entire field dedicated to doing so, and it is known as audience research.
실제로 그렇게 하는 것을 다루는 온전한 분야가 있는데, 그것은 시청자층 조사라고 알려져 있다.
Of course, it is impossible to find out what every person in the world is watching at any particular time.
물론,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어떤 특정한 시간에 무엇을 시청하는지 알아내는 것은 불가능하다.
Instead, a sample audience is surveyed.
그 대신에, 표본 시청자가 조사된다.
In America, this sample consists of 25,000 households.
미국에서, 이러한 표본은 25,000세대로 구성된다.
In the past, these families were asked to keep a diary of their viewing habits and submit it once a week.
과거에는 이 가족들에게 시청 습관에 대한 일지를 적어 일주일에 한 번 제출하도록 요구하였다.
Then in the 1990s, this method was abandoned in favor of TV meters.
그리고 1990년대에는, TV 미터 덕분에 이 방식이 폐기되었다.
These were devices that were attached to each household’s televisions in order to record exactly what the family watched.
이것은 가족이 무엇을 시청하는지를 정확히 기록하기 위해 각 세대의 텔레비전에 부착된 장치였다.
Nowadays, however, most TV meters have been replaced with “people meters.”
그러나 요즘 대부분의 TV 미터는 ‘피플 미터’로 대체되었다.
These devices can gather more detailed information.
이 장치는 좀 더 자세한 정보 수집이 가능하다.
For example, they can track what each individual member of a household watches.
예를 들어, 그것들은 각 세대의 개별 구성원이 시청하는 것을 추적할 수 있다.
When you sit down to watch TV, you push a personalized button that activates the people meter.
TV를 보기 위해 앉을 때, 여러분은 피플 미터를 작동시키는 개인 전용 버튼을 누르는 것이다.
You push it again when you are finished viewing.
여러분은 시청이 끝나면 다시 버튼을 누른다.
This lets advertisers know important things, such as which shows are popular with women or which age groups like a certain show best.
이렇게 함으로써 광고주들은 중요한 사실을 알게 되는데, 가령 어떤 프로그램이 여성들에게 인기 있는지, 또는 어떤 연령대가 특정 프로그램을 가장 좋아하는지와 같은 것이다.
Unfortunately, there are some doubts that these rating figures are reliable.
유감스럽게도, 이 시청률 수치들이 신뢰할 만한지에 관한 약간의 의구심이 있다.
Part of the problem is the sample size.
일부 문제가 되는 것은 표본의 크기이다.
Collectively, the 25,000 American households used in audience research represent only about 0.02% of the total population.
종합해서, 시청자층 조사에 이용되는 미국의 25,000세대는 전체 인구의 겨우 0.02%에 해당한다.
Therefore, the viewing habits of 99.9% of America are being ignored.
따라서 미국인 99.9%의 시청 습관은 무시되고 있는 것이다.
There is also some specific criticism of people meters.
피플 미터에 관한 몇몇 특정 비판들도 있다.
They rely on people consistently pressing their buttons when they enter or exit the room.
피플 미터는 방을 출입할 때 일관성 있게 버튼을 누르는 사람들에게 의존한다.
Special cameras have been created to fix this problem, but their high cost has prevented them from being installed in most households.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특별 카메라가 생겨났지만, 가격이 비싸 대부분의 세대에 설치되지 못했다.
Furthermore, people increasingly watch TV in places other than their own home, such as restaurants or other public locations.
게다가 사람들은 점점 자기 집이 아닌 곳, 가령 식당이나 기타 공공장소에서 TV를 시청한다.
And, of course, the growing popularity of watching shows on the Internet and smartphones creates a whole new problem for accurate audience research.
그리고 물론, 인터넷과 스마트폰으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것이 점점 인기가 많아지는 것도 정확한 시청자층 조사에 전적으로 새로운 문제를 만들어 낸다.
No one can live life alone, but some creatures share their lives more than others.
아무도 삶을 혼자 살 수 없지만, 어떤 생물들은 다른 생물들보다 더 많이 삶을 함께한다.
Nature’s closest relationships between different species are called symbiosis.
자연에서 다른 종들 사이의 가장 가까운 관계는 공생이라 불린다.
It is a name formed from the Greek words meaning “together” and “life.”
그것은 ‘함께’와 ‘삶’을 의미하는 그리스어에서 형성된 이름이다.
In the past, the term “symbiosis” was used only for relationships in which both creatures benefit.
과거에 ‘공생’이라는 용어는 두 생물 모두가 이득을 보는 관계에만 사용되었다.
Today, however, it refers to a wider variety of interactions.
하지만 오늘날 그것은 더 다양한 상호 작용을 나타낸다.
The first type of symbiosis is called mutualism, and it describes the original meaning of the word.
공생의 첫 번째 유형은 상리 공생이라 불리며, 그것은 그 단어의 원래 의미를 말한다.
In mutualism, both species gain something from their interaction.
상리 공생에서는 두 종 모두 그들의 상호 작용에서 무언가를 얻는다.
Clownfish and sea anemones are a good example.
흰동가리와 말미잘이 좋은 예이다.
Clownfish live within the stinging tentacles of sea anemones.
흰동가리는 말미잘의 쏘는 촉수 안에 산다.
They are immune to the stings, and the tentacles give them protection from predators.
그것들은 독침에 면역이 되어 있으며, 촉수는 그것들을 포식자로부터 보호해 준다.
In return, the clownfish eat parasites off of the anemones and lure other fish into the anemones’ grasp.
보답으로, 흰동가리는 말미잘의 기생 동물을 잡아먹고, 다른 물고기를 말미잘의 사정권 안으로 유인한다.
The second type of symbiosis is called commensalism.
공생의 두 번째 유형은 편리 공생이라 불린다.
In this type of interaction, one organism benefits while the other is hardly affected at all.
이 상호 작용의 유형에서는 한 유기체가 득을 보는 데 반해 다른 유기체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Remoras are fish with an organ on their heads that works like a suction cup.
빨판상어는 자신의 머리 위에 흡착기 같은 역할을 하는 기관이 달린 물고기이다.
They use this organ to attach themselves to larger sea creatures, including sharks.
그것들은 자신들을 상어를 포함한 더 큰 바다 생물에 달라붙게 하는 데 이 기관을 사용한다.
This is not harmful to the larger animal.
이것은 더 큰 동물에게 해가 되지 않는다.
Fish have to swim or move their gills constantly to get oxygen out of the water, but thanks to their hosts, remoras can move quickly through the water without using up their own energy.
물고기는 물에서 산소를 얻을 수 있도록 끊임없이 헤엄치거나 아가미를 움직여야 하지만, 빨판상어는 그것의 숙주 덕분에 자신의 힘을 소모하지 않고 물 속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The third type of symbiosis is called parasitism.
공생의 세 번째 유형은 기생이라 불린다.
In this case, one of the living things in the relationship benefits by harming the other.
이러한 경우에는 관계에 있는 생물들 중 하나가 다른 생물에게 해를 끼침으로써 이득을 본다.
Fleas and ticks are all-too-familiar examples.
벼룩과 진드기가 너무나도 친숙한 예이다.
Fleas live on the body of an animal and suck its blood when they get hungry.
벼룩은 동물의 몸에 살면서 배가 고파지면 그것의 피를 빨아먹는다.
Ticks bury their head in an animal’s skin, also to suck its blood.
진드기도 동물의 피를 빨아먹기 위해 그것의 피부에 자신의 머리를 묻는다.
The parasites benefit by getting a constant supply of food, but their hosts suffer.
기생 동물은 끊임없이 먹이를 공급받음으로써 이익을 얻지만, 그것의 숙주는 고통받는다.
Besides taking nutrients away from the host, these parasites also carry many diseases that can be deadly.
숙주에게서 영양분을 빼앗아가는 것 외에도, 이 기생 동물들은 치명적일 수 있는 많은 질병도 옮긴다.
Symbiotic relationships are a fascinating example of how creatures are connected.
공생 관계는 생물이 관계를 맺는 방식에 관한 대단히 흥미로운 예이다.
It would be nice if mutualism and commensalism were the only forms, but parasitism is unavoidable, and it shows that organisms will find any way possible to survive.
상리 공생과 편리 공생이 유일한 형태라면 좋겠지만, 기생은 불가피하며, 그것은 유기체가 살아남을 수 있는 어떤 방법이라도 찾을 것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Wildfires sweep through forests and plains, burning everything in their path.
들불은 지나는 길에 있는 모든 것을 태우면서 숲과 평야를 휩쓸고 지나간다.
Unlike animals, plants have no way of running from the flames.
동물과는 달리 식물에게는 불길로부터 달아날 방법이 없다.
However, they have developed several survival strategies to protect themselves from fire.
하지만 그것들은 화재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몇 가지 생존 전략을 개발해 왔다.
In some cases, fire is even a necessary part of their life cycles.
몇 가지 경우에 불은 심지어 그들의 생명 주기에 필요한 부분이다.
Some plants have seeds that will only sprout after a fire.
어떤 식물들은 불이 난 이후에만 싹이 트는 씨앗을 가지고 있다.
Certain pine trees grow their seeds inside of protective cones sealed up with a glue-like substance called resin.
어떤 소나무는 송진이라 불리는, 접착제와 같은 물질로 봉해진 보호용 솔방울 안에서 씨앗을 키운다.
When a fast-moving fire sweeps through, the resin melts and the seeds eventually fall to the ground and grow.
빠르게 번지는 불이 휩쓸고 지나가면, 송진이 녹고 결국 씨앗이 땅에 떨어져서 자라난다.
Other plants have seeds that stay unchanged in the soil for years.
다른 식물들은 수년간 흙 속에서 변하지 않는 씨앗을 가지고 있다.
The seeds have tough coatings that don’t allow them to grow until they have been exposed to extreme heat or the chemical changes that a fire produces in the soil.
그 씨앗은 불이 흙 속에서 만들어 내는 극심한 열기나 화학 변화에 그것이 노출되고 나서야 자라게 해 주는 단단한 막을 가지고 있다.
A second survival strategy involves protecting the living tissues of adult plants from fire.
두 번째 생존 전략은 불로부터 성체 식물의 살아있는 조직을 보호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Some trees have thick bark that is very difficult to burn.
어떤 나무는 매우 타기 힘든 두꺼운 나무껍질을 가지고 있다.
It keeps the tree safe from intense heat even when it is surrounded by flames.
그것은 나무가 불길에 둘러싸였을 때조차도 나무를 극심한 열기에서 안전하게 지켜준다.
Another variation of this strategy is found in plants that grow moist tissues for protection.
이 전략의 다른 변형은 보호를 위해 촉촉한 조직을 자라게 하는 식물에서 찾을 수 있다.
During a fire, the moisture prevents them from burning or becoming dehydrated.
화재 시에 그 습기가 식물들이 불에 타거나 건조해지는 것을 막아준다.
In other cases, the fire survival strategy is focused on keeping vulnerable parts of the plant out of the reach of flames.
다른 경우에서, 화재 생존 전략은 식물의 취약한 부분이 불길에 닿지 않도록 하는 데 주력한다.
Several types of trees accomplish this by growing tall trunks with branches only near the top.
몇 종류의 나무가 가지가 꼭대기 근처에만 달린 높은 몸통을 자라게 함으로써 이것을 해낸다.
Some of them drop their dead lower branches as they grow, which ensures that living branches at the top will stay safe from fire.
그것들 중 일부는 자라면서 더 낮은 곳에 있는 죽은 나뭇가지들을 떨어뜨리는데, 이는 꼭대기의 살아 있는 가지들이 불로부터 안전할 수 있게 해 준다.
This is important since dead branches provide fuel that could keep flames burning dangerously close to the living flowers, leaves, and other important structures at the top of the tree.
이것은 중요한데, 죽은 나뭇가지가 나무 꼭대기의 살아 있는 꽃, 잎, 그리고 다른 중요한 조직 가까이에서 불길이 위험하게 타게 할 수 있는 연료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Other fire protection strategies exist in the plant kingdom.
식물계에는 다른 화재 방어 전략들도 존재한다.
Some eucalyptus species, for example, have buds under their bark that form new branches only after a fire, while fire lilies remain flowerless until fire causes them to quickly bloom.
예를 들어, 어떤 유칼립투스 종은 나무껍질 아래에, 불이 난 후에만 새로운 가지를 형성하는 새싹을 지닌 반면, 글로리오사는 불이 그것들로 하여금 빠르게 꽃을 피우게 할 때까지 꽃이 없는 상태로 있다.
Fire is a part of nature, and plants have a multitude of ways to live with it.
불은 자연의 일부이며, 식물들은 불과 함께 살아갈 다수의 방법을 가지고 있다.
The indigenous people of New Zealand, the Māori, have lived there since the 13th century.
뉴질랜드의 토착민인 마오리족은 13세기부터 그곳에 살았다.
A Dutch explorer discovered the islands in 1642, and European settlers began arriving in the 18th century.
1642년에 네덜란드인 탐험가가 그 섬들을 발견했고, 18세기에 유럽 이주민들이 도착하기 시작했다.
By 1840, there were about 2,000 settlers and 125,000 Māori living on the islands.
1840년쯤에는 그 섬에 약 2,000명의 이주민과 125,000명의 마오리족이 살고 있었다.
As more and more settlers arrived, Māori leaders began to worry.
점점 더 많은 이주민들이 도착하자, 마오리족의 지도자들은 걱정하기 시작했다.
They asked Britain for protection from aggressive countries, such as France, as well as from British settlers who tried to steal their land.
그들은 영국에게 자신들의 땅을 빼앗으려 하는 영국 이주민들뿐만 아니라 프랑스와 같은 공격적인 나라들로부터의 보호를 요청했다.
The British government agreed to sign an official treaty with the Māori chiefs—it was written in English and then translated into the Māori language.
영국 정부는 마오리족의 족장과 공식적인 조약을 체결하는 데 동의했는데, 그것은 영어로 쓰인 다음 마오리어로 번역되었다.
The treaty was signed by the British and 43 chiefs in 1840 and was then transported across the country over the next eight months, where it was signed by more than 500 Māori chiefs.
1840년에 그 조약은 영국과 43명의 족장에 의해 서명되었고 그 다음 8개월에 걸쳐 전국으로 수송되었는데, 그곳에서 그것은 500명이 넘는 마오리 족장들에 의해 서명되었다.
The Treaty of Waitangi consisted of three main articles.
와이탕이 조약은 세 개의 주요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The first gave the British monarchy sovereignty over all of New Zealand.
첫 번째는 영국 왕가에 뉴질랜드 전체의 주권을 이양했다.
The second allowed the chiefs to keep their land, stating that they could sell it only to the British government.
두 번째는 족장들이 토지를 오직 영국 정부에게만 팔 수 있다는 것을 명시하면서, 그들이 그것을 계속 소유하는 것을 허용했다.
Finally, the treaty gave all Māori the same rights as British citizens.
마지막으로, 그 조약은 모든 마오리족에게 영국 시민과 같은 권리를 주었다.
Unfortunately, translation problems soon caused controversy.
안타깝게도 곧 번역 문제가 논란을 일으켰다.
The main problem was with the word “sovereignty,” which means “having complete power over a group.”
주된 문제는 ‘주권’이라는 단어에 관한 것이었는데, 그것은 ‘한 집단에 대해 완전한 권력을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However, it was translated into a Māori word meaning “the right to govern an independent group.”
하지만 그것은 ‘하나의 독립된 집단을 다스릴 권리’를 의미하는 마오리어로 번역되었다.
Because of this, the British believed the treaty gave them complete authority over the Māori and their land.
이 때문에, 영국은 그 조약이 그들에게 마오리족과 그들의 땅에 대한 완전한 권한을 주었다고 생각했다.
The Māori, however, believed it simply allowed the British to use their land.
하지만 마오리족은 그 조약은 단순히 영국이 자신들의 땅을 사용하게 해 주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These disagreements led to the New Zealand Land Wars, which were fought from 1845 to 1872.
이러한 의견 차이는 뉴질랜드 토지 전쟁으로 이어졌는데, 그것은 1845년부터 1872년까지 치러졌다.
Hundreds were killed on both sides, but the British were eventually victorious.
양측에서 수백 명이 사망했으나, 결국 영국이 승리했다.
This led to the confiscation of Māori land, a practice which continued into the 20th century, until nearly all the land in New Zealand belonged to the British.
이것은 뉴질랜드의 거의 모든 토지가 영국에 귀속될 때까지 20세기에도 계속된 행위인 마오리족 토지의 몰수로 이어졌다.
To help Māori tribes that had been mistreated, the Waitangi Tribunal was established in 1975.
부당한 대우를 받았던 마오리 부족을 돕기 위해 1975년에 와이탕이 재판소가 설립되었다.
When the tribunal finds that the terms of the treaty were broken, the tribe receives compensation.
재판소가 조약의 조항들이 위배되었다는 판결을 내리면, 그 부족은 보상을 받는다.
Although debates regarding the Treaty of Waitangi continue today,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documents in New Zealand’s history.
비록 와이탕이 조약에 관한 논쟁이 오늘날 계속되고 있지만, 그것은 뉴질랜드 역사상 가장 중요한 문서 중 하나로 여겨진다.
By 1860, the Northern states and Southern states of the U.S. had developed into two different regions with opposing economic and political views.
1860년쯤에는 미국 북부와 남부의 주들이 대립된 경제적·정치적 견해를 가진 두 개의 다른 지역으로 발전했다.
Politically, the South believed that the rights of the states were more important than a national government, while the North needed a central government to integrate the states into a union.
정치적으로, 북부는 주들을 하나의 연합으로 통합시키는 중앙 정부를 필요로 한 반면, 남부는 주의 권한이 중앙 정부보다 더 중요하다고 여겼다.
The North and South were most sharply divided over the issue of slavery, in particular, and the reason was that they had different economic interests;
북부와 남부는 특히 노예 제도 문제를 놓고 가장 첨예하게 갈라져 있었는데, 그 이유는 그들이 서로 다른 경제적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The North strongly opposed slavery, while the South was firm in its position on the necessity of slavery.
즉, 남부는 노예 제도의 필요성에 대해 확고한 태도를 보인 반면, 북부는 강하게 노예 제도를 반대했다.
These disagreements became the main reason for the American Civil War, which lasted from 1861 to 1865.
이런 의견의 불일치는 미국 남북 전쟁의 주된 이유가 되었는데, 그것은 1861년부터 1865년까지 지속되었다.
In the South, landowners, who only accounted for 5% of the population, operated plantations to cultivate cotton, tobacco, and sugar cane, and more than 4 million slaves were essential for their sustainability.
남부에서는 인구의 겨우 5%를 차지하는 지주들이 면화, 담배, 사탕수수를 재배하기 위해 대농장을 경영했고, 농장을 유지하는 데 4백만 명이 넘는 노예들이 필수적이었다.
Cotton agriculture burgeoned in the South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he cotton gin and other machines.
남부에서는 산업 혁명 기간 중 조면기와 기타 기계들의 개발로 면화 농업이 급성장했다.
The Southern states accumulated their wealth by growing agricultural goods.
남부의 주들은 농작물을 재배해서 부를 축적했다.
To do so, they relied on the low-cost labor of slaves and therefore resisted efforts to end the practice of slavery.
그렇게 하기 위해서 그들은 노예들의 값싼 노동력에 의존했고, 따라서 노예제를 폐지하고자 하는 노력에 반대하였다.
Meanwhile, the North had developed into an industrial capitalist society.
한편, 북부는 산업 자본주의 사회로 발전했다.
With the growth in the production of industrial products such as textiles, paper, and metal, there was no longer a reliance on agriculture.
섬유, 종이, 그리고 금속과 같은 공산품 생산이 증가함에 따라, 더는 농업에 의존하지 않게 되었다.
Therefore, Northerners saw little need for slavery and were more likely to oppose it.
따라서, 북부 사람들은 노예제의 필요성을 거의 느끼지 못했고 그것에 반대할 가능성이 더 컸다.
Against this backdrop, Abraham Lincoln, who was against slavery, became president in 1861.
이러한 배경에서 노예 제도를 반대하던 에이브러햄 링컨이 1861년에 대통령에 당선되었다.
Seven Southern states broke away and attacked Fort Sumter at the end of the same year, signaling the beginning of the American Civil War.
남부의 일곱 개 주가 독립하고 그 해 말에 섬터 요새를 공격하며 미국 남북 전쟁의 시작을 알렸다.
By July 1864, the war was going favorably for the North with its victory at Gettysburg.
1864년 7월까지 전쟁은 게티즈버그에서 승리를 거둔 북부에 유리하게 돌아가고 있었다.
The war finally ended when the Southern army surrendered in 1865.
전쟁은 결국 남군이 1865년에 항복하면서 종결되었다.
The drawn-out war forced social and economic structures of the South to change.
오랫동안 이어진 전쟁은 남부의 사회적·경제적 구조를 바꾸어 놓았다.
Plantations disappeared and capitalists from the North flocked to invest in the South, driving the rapid growth of industries such as textiles, tobacco, and iron, as well as resources such as oil and coal.
대규모 농장은 사라지고, 남부에 투자하기 위해 북부에서 자본가들이 떼지어 몰려오면서 석유, 석탄과 같은 자원뿐 아니라 섬유, 담배, 철 같은 산업의 급속한 성장을 가져왔다.
Between 1869 and 1870, American capitalism bloomed, with industrial production as a whole doubling.
1869년과 1870년 사이 산업 생산 전체가 두 배로 증가하면서 미국 자본주의는 꽃을 피웠다.
Author Beatrix Potter is best remembered for writing the children’s book The Tale of Peter Rabbit in 1902, although she was also a skilled and important amateur biologist, sheep farmer, and conservationist.
작가 베아트릭스 포터는 숙련되고 영향력 있는 아마추어 생물학자이자 양을 치는 농부였으며, 자연 보호론자이기도 했지만, 1902년에 <피터 래빗 이야기>라는 아동용 책을 쓴 것으로 가장 유명하다.
The characters she created, like Benjamin Bunny and Squirrel Nutkin, touched children all over the world and sold millions of books, and the legacy of her other works can still be appreciated today.
벤자민 버니와 스쿼럴 너트킨처럼 그녀가 만들어낸 캐릭터들은 전 세계의 어린이들을 감동시켰고, 수백만 권의 책을 사게끔 했으며, 그녀의 다른 활동들이 남긴 유산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높이 평가될 만하다.
As a child, Beatrix was home schooled by governesses while her brother was sent away to be educated.
어린 시절, 그녀의 남동생이 교육을 받기 위해 외지로 보내진 반면, 베아트릭스는 집에서 여자 가정교사에 의해 교육을 받았다.
She was often alone and spent a lot of time in nature.
그녀는 자주 혼자 남겨졌고 자연 속에서 많은 시간을 보냈다.
This made her develop a strong attachment to animals, and whenever she got the chance, she secretly brought them home as companions.
이는 그녀가 동물들에 대해 강한 애착을 갖도록 만들었고, 그녀는 기회가 있을 때마다 그것들을 벗삼아 집으로 몰래 데려왔다.
Studying their behavior, she practiced drawing them and created stories about them.
동물들의 행동을 연구하면서 그녀는 그것들을 그리는 연습을 했고, 그것들에 대한 이야기를 만들어 냈다.
The Tale of Peter Rabbit was based on letters she wrote to the son of her former governess, and it was inspired by the actions of a real-life rabbit.
<피터 래빗 이야기>는 그녀의 예전 가정교사의 아들에게 쓴 편지에 기반을 두었고, 실제 토끼의 행동에서 영감을 받았다.
Sales of The Tale of Peter Rabbit had exceeded 50,000 copies within a year and Potter started to use the earnings to purchase real estate.
<피터 래빗 이야기>의 판매가 1년도 안 되어 5만 부를 넘자, 포터는 판매 수익을 부동산을 구입하는 데 쓰기 시작했다.
Her purpose in acquiring land was to preserve the British countryside for the National Trust, an organization set up to protect and preserve land and buildings of beauty or historical importance.
땅을 사들이는 데 있어 그녀의 목적은 아름답거나 역사적으로 중요한 땅과 건물을 보호하고 보존하기 위해서 설립된 기관인 내셔널 트러스트에 기증할 영국의 전원을 보존하기 위함이었다.
She not only bought land but also worked it as well.
그녀는 땅을 샀을 뿐만 아니라 그것을 경작하기도 했다.
She learned how to farm, making a business out of raising sheep.
그녀는 경작하는 법을 배우면서 양을 키우는 일을 직업으로 삼기도 했다.
In her work as a farmer, Beatrix aimed to make sure that traditional lifestyles and farming methods would not be forgotten.
농부로 일하면서 베아트릭스는 전통적인 생활 방식과 농법이 잊혀지지 않게 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When she died in 1943, Beatrix Potter left 4,000 acres of land to the National Trust to ensure that its beauty could remain unspoiled.
1943년에 그녀가 삶을 마감했을 때, 베아트릭스 포터는 4,000 에이커의 땅이 그 아름다움을 잃지 않고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 그것을 내셔널 트러스트에 남겼다.
Her legacy is now part of the Lake District National Park, thus helping to preserve for future generations not only the images of natural beauty in the works she penned but also the actual places that inspired her books.
그녀의 유산은 현재 레이크 디스트릭트 국립 공원의 일부가 되어, 다음 세대들을 위해 그녀가 쓴 작품들 속에 묘사된 자연의 아름다움에 대한 이미지뿐만 아니라 그녀의 책에 영감을 준 실제 장소들을 보존하는 데도 일조하고 있다.
If you were to listen to his mother, you would think that Terry Fox was “a very ordinary young man.”
그의 어머니 말씀을 듣는다면, 당신은 테리 폭스가 ‘매우 평범한 젊은이’였다고 생각할 것이다.
Yet the legacy of his short life has been anything but ordinary.
그러나 그의 짧은 인생이 남긴 유산은 결코 평범하지 않다.
He has been the subject of two movies and two songs, has had a mountain named after him, and has appeared on the face of a coin.
그는 두 편의 영화와 두 곡의 노래의 소재가 되었고, 그의 이름을 따서 이름이 지어진 산도 있으며, 한 동전의 앞면에도 그의 모습이 새겨져 있다.
At the age of 18, Terry, a long distance runner and basketball player, was diagnosed with bone cancer.
장거리 육상 선수이자 농구 선수였던 테리는 18세의 나이에 골수암 진단을 받았다.
After he had his leg amputated above the knee, the suffering of other cancer patients he had seen convinced him that he should do something.
한쪽 다리를 무릎 위까지 절단하고 난 후에, 그가 목격한 다른 암 환자들의 고통은 그로 하여금 무엇인가를 해야 한다는 확신을 주었다.
So, he decided to attempt to raise funds for cancer research by, incredibly, running across Canada and showing that he was no less of a person just because cancer had claimed one of his legs.
그래서 그는 암 연구를 위한 기금을 모금해 보기로 했는데, 그 방법은 놀랍게도 캐나다를 횡단해서 달림으로써 단지 암이 다리 하나를 앗아갔다는 이유로 그가 더 열등한 사람인 것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On 12 April 1980, Terry Fox set out on his journey.
1980년 4월 12일에 테리 폭스는 긴 여정을 시작했다.
Beginning at St. John’s, his goals were to run to Vancouver, a distance of more than 8,000 km, and to raise $24 million in donations, one dollar for each Canadian.
세인트 존스에서 시작해, 그의 목표는 8,000km 이상 떨어진 밴쿠버까지 달려서, 캐나다 사람 1인당 1달러씩 해서 2천4백만 달러의 기부금을 모으는 것이었다.
Setting off on his journey with one natural and one artificial leg, Fox somehow managed to cover a distance of 42 km a day, approximately the length of a marathon.
원래 다리 한쪽과 의족 한쪽으로 여정을 시작한 폭스는 어떻게 해서든 하루에 42km, 즉 대략 마라톤 거리만큼을 달렸다.
After 143 days he was well over halfway to achieving his goal of crossing Canada, but that was to be his last day of running.
143일 후 그는 캐나다 횡단이라는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절반 이상을 훨씬 넘겼지만, 그날이 그가 마지막으로 달리는 날이 되고 말았다.
Terry’s cancer had spread to his lungs, and he, along with his dream of finishing his “Marathon of Hope,” was dying.
테리의 암은 폐까지 퍼져 있었고, 그는 ‘희망의 마라톤’을 완주하겠다는 꿈과 함께 죽어가고 있었다.
Before passing away, he helped set up the Terry Fox Run to commemorate his Marathon of Hope.
죽기 전에 그는 자신의 희망의 마라톤을 기념하기 위해 테리 폭스 달리기를 창설하는 것을 도왔다.
Each year, people help raise funds for cancer research by collecting donations and running a short marathon in his memory.
해마다 사람들은 기부금을 모으고 그를 기리는 단거리 마라톤을 뛰면서 암 연구를 위한 기금 모금에 도움을 주고 있다.
Upon Terry’s insistence, the run is not competitive.
테리의 주장에 따라, 테리 폭스 달리기는 경쟁을 하지 않는다.
There are no winners, no ribbons, and no prizes.
우승자도 없고 리본도 없으며 상도 없다.
Today, his run is held annually in over 60 countries and has raised more than $750 million for cancer research.
오늘날 테리 폭스 달리기는 해마다 60개국이 넘는 곳에서 개최되고 있으며 암 연구를 위해 7억 5천만 달러 이상을 모금했다.
His hope for a cure for cancer lives on in those people his remarkable achievements continue to inspire.
암 치료법에 대한 그의 희망은 그가 이룬 놀라운 업적에 끊임없이 영감을 받는 사람들 안에 계속 살아 있다.
학생
문장을 낭독, 쉐도잉, 녹음 하는 스피킹 (로그인) 〉
가장 빠르게 암기하도록 도와주는 암기학습 (로그인) 〉
제대로 외웠나 바로 확인하는 리콜학습 (로그인) 〉
철자까지 외우려면 스펠학습 (로그인) 〉
재미있게 복습하려면 스크램블 (로그인) 〉
주관식으로도 재미있는 복습, 크래시 게임 (로그인) 〉
선생님
수업 중 이 단어장을 보고 듣고 질문하는 슬라이드 (로그인) 〉
수업시간이 들썩 들썩 퀴즈배틀 (로그인) 〉
클릭만으로 종이낭비 없이 시험지 인쇄 (로그인) 〉
필요한 세트를 직접 만드는 단어장 만들기 (로그인) 〉
선생님들이 만드신 30만개 단어장 검색하기 〉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