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copes have been an essential tool for science for over 400 years.
현미경은 400년 이상 과학의 필수 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If microscopes had not been invented, we might not have discovered bacteria or the microscopic structures of living organisms.
현미경이 발명되지 않았다면 우리는 박테리아나 생명체의 미세한 구조를 발견하지 못했을지도 모른다.
In certain areas of the world, however, even basic light microscopes are not accessible due to their cost.
그러나 일부 지역에서는 기본적인 광학 현미경조차도 가격 때문에 접근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It was the Foldscope that Manu Prakash and Jim Cybulski presented as a solution to the problem.
Manu Prakash와 Jim Cybulski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한 것이 바로 폴드스코프이다.
The Foldscope, a paper microscope they invented, achieved powerful magnification, and cost less than a dollar in parts.
이들이 발명한 종이 현미경 폴드스코프는 강력한 배율을 구현하면서도 부품 가격이 1달러도 안 되었다.
“The idea has been to make science accessible to everybody,” said Prakash.
“누구나 과학을 쉽게 접할 수 있게 하자는 취지였습니다.”라고 Prakash는 말했다.
While researching methods for identifying infectious diseases in Thailand in 2011, Prakash came across an expensive microscope that was meant for malaria testing but was unused.
2011년 태국에서 전염병을 식별하는 방법을 연구하던 Prakash는 말라리아 검사에 사용되어야 하지만 쓰이지 않고 있는 고가의 현미경을 우연히 발견했다.
Malaria takes over half a million lives annually, so early diagnosis is crucial in preventing its spread.
말라리아는 매년 50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가기 때문에 확산을 막으려면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다.
But then, why was the microscope sitting unused?
하지만 왜 현미경이 사용되지 않고 방치되어 있었을까?
Prakash found that there were multiple reasons.
여러 가지 이유가 있다는 것을 Prakash는 알게 되었다.
The microscope was bulky and awkward to transport, required training to operate, and was difficult to maintain.
현미경은 부피가 커서 운반하기 불편하고, 작동하려면 교육이 필요하며, 유지 관리가 어려웠다.
As it was a delicate and expensive instrument, even trained lab workers felt nervous about using it.
현미경은 섬세하고 값비싼 장비였기 때문에 숙련된 실험실 직원조차도 현미경 사용에 부담을 느꼈다.
Prakash began wondering.
Prakash는 고민하기 시작했다.
A cheap, strong microscope could save thousands of lives.
저렴하고 튼튼한 현미경만 있으면 수천 명의 생명을 구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After he returned to Stanford University, where he was a professor, he started to reflect on the idea.
교수로 재직 중이던 스탠퍼드 대학교로 돌아온 후, 그는 이 아이디어에 대해 곰곰이 생각하기 시작했다.
It was not until he met Jim Cybulski that his idea of an affordable and accessible microscope began to take shape.
저렴하고 접근하기 쉬운 현미경에 대한 그의 아이디어는 Jim Cybulski를 만나고 나서야 구체화되기 시작했다.
A graduate student at Stanford, Cybulski was looking for ways to apply his engineering background to make a difference in the real world.
스탠퍼드 대학원에 재학 중이던 Cybulski는 현실 세계에 변화를 일으키기 위해 자신의 공학적 배경을 적용할 방법을 찾고 있었다.
After hearing Prakash’s vision, Cybulski quickly recognized its potential and was eager to contribute.
Prakash의 비전을 듣고 난 후 Cybulski는 그 잠재력을 금방 알아차리고 기여하고 싶어 했다.
For a microscope to function properly, it must meet certain minimum requirements.
현미경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몇 가지 최소 요구 사항을 충족해야 한다.
These include an eyepiece, a tube through which the viewer looks, and a lens for magnification.
여기에는 접안렌즈, 관찰자용 튜브, 배율용 렌즈가 포함된다.
The microscope must also have a component that can hold a specimen and move from side to side to explore different areas of the specimen.
현미경에는 또한 표본을 고정하고 좌우로 움직여 표본의 다른 영역을 탐색할 수 있는 부품이 있어야 한다.
Furthermore, a mechanism to bring the specimen into focus, usually accomplished by moving it closer to or farther from the lens, is necessary.
게다가 일반적으로 표본을 렌즈에 더 가까이 또는 더 멀리 이동하여 초점을 맞출 수 있는 메커니즘이 필요하다.
Finally, a light source is required to illuminate the specimen.
마지막으로 표본을 비추기 위한 광원이 필요하다.
An ideal microscope would be made with the best performing materials and mechanisms for each component.
이상적인 현미경은 각 부품에 최상의 성능을 내는 재료와 메커니즘으로 만들어질 것이다.
However, such a microscope would likely be enormously expensive.
하지만 그런 현미경은 엄청나게 비쌀 가능성이 높다.
On the other hand, a cheap microscope may not be able to deliver high performance.
반면에 저렴한 현미경은 높은 성능을 제공하지 못할 수 있다.
Prakash and Cybulski experimented with various designs and materials in order to find a suitable compromise.
Prakash와 Cybulski는 적절한 타협점을 찾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과 소재를 시험했다.
While many manufacturers might have settled for a middle ground between these two extremes, Prakash and Cybulski were determined to create a microscope that was both inexpensive and high-performing, while remaining accessible to all.
많은 제조업체가 이 두 가지 극단 사이의 절충안에 만족했을 수도 있지만, Prakash와 Cybulski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면서도 저렴하고 성능이 뛰어난 현미경을 만들기로 결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