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BM 공통영어2 본문(박준언, 2022) Lesson 3.4-3.5
24 카드 | ybmadmin
세트공유
Second, have “me time,” that is, personal time to look after yourself.
둘째, ‘나만의 시간’ 즉 자신을 돌보는 개인적인 시간을 가지세요.
Take a break and be in the present moment, neither regretting the past nor worrying about the future.
과거를 후회하지도, 미래를 걱정하지도 말고 잠시 쉬면서 현재의 순간 속에 있어 보세요.
Walk, meditate, write, draw, listen to music, or exercise.
걷거나, 명상을 하거나, 글을 쓰거나, 그림을 그리거나, 음악을 듣거나, 운동을 하세요.
If you don’t know where to start, the STOP technique can be a great meditative technique.
만약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STOP 기법이 하나의 훌륭한 명상법이 될 수 있습니다.
It works like this.
그것은 다음과 같습니다.
Stop whatever you are doing.
하던 일을 무엇이건 멈추세요.
Take a few deep breaths.
깊은 호흡을 몇 번 하세요.
Observe your emotions and thoughts as they are, not judging them as good or bad.
당신의 감정과 생각들을 좋다 나쁘다 판단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지켜보세요.
Proceed with what you were doing.
하던 일을 다시 계속하세요.
Or start something different based on what you observed.
아니면 지켜본 내용을 토대로 뭔가 다른 것을 시작해 보세요.
Now go forward with your life.
이제 당신의 삶을 계속 살아나가는 거죠.
Third, be connected.
셋째, 연결되세요.
Allow yourself to ask for help from people whom you can trust, such as friends, family members, or counselors.
친구, 가족, 상담가와 같이 당신이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구하는 것을 스스로에게 허용하세요.
Talking about your issues with someone can help you see your situation with more clarity and respond to it with more strength.
당신의 문제에 대해 누군가와 이야기하는 것은 당신의 상황을 더 명료하게 보고, 상황에 더 힘차게 대응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Good communication helps resilience.
좋은 의사소통은 회복 탄력성을 돕습니다.
This is the reason why resilient people tend to create good support networks.
이것이 회복 탄력성이 뛰어난 사람들이 좋은 지지 네트워크를 만드는 경향이 있는 이유입니다.
I am not saying that these strategies are easy or remove all stress and suffering.
나는 이런 전략들이 쉽다거나 모든 스트레스와 고통을 없애 준다고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Still, I urge you to practice them whenever you can, particularly when you are under stress.
그렇지만 당신이 가능할 때마다, 특히 스트레스를 받을 때, 이 방법들을 연습할 것을 강력히 권고합니다.
Remember that there is no better time to build your “resilience muscle” than the moment when you are in the middle of adversity and uncertainty.
역경이나 불확실성의 한가운데에 있을 때보다 더 ‘회복 탄력성 근육’을 키우기 좋은 시기는 없다는 걸 기억하세요.
Practicing resilience during tough times helps you endure and grow stronger.
힘든 시기에 회복 탄력성을 연습하는 것은 당신이 인내하고 더 강해지도록 도와줍니다.
However, you can also apply these strategies to everyday small stresses or minor challenges.
그러나 일상의 사소한 스트레스나 작은 도전에도 이러한 전략들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Then you will gradually become more able to deal with big ones.
그러면 점차 큰 스트레스나 도전도 더 잘 다룰 수 있게 될 것입니다.
Resilient people tend to be happier and more fulfilled because they are less afraid of failing or challenges.
회복 탄력성이 좋은 사람들은 실패나 도전을 덜 두려워하기 때문에 더 행복하고 더 충족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습니다.
So, building resilience is the key not only to overcoming adversity but also to living a happy life.
따라서 회복 탄력성을 키우는 것은 역경을 이겨내는 열쇠일 뿐 아니라, 행복한 삶을 사는 열쇠이기도 합니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