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are numerous ways wildlife is managed, but they all imply stewardship and can be classified into two broad categories: active management and inactive management.
야생 생물이 관리되는 수많은 방법들이 있지만, 그것들은 모두 관리 책임을 수반하고 적극적 관리와 소극적 관리라는 두 가지 넓은 범주로 분류될 수 있다.
Active management does something to the population ― such as increasing or decreasing its size ― in a direct manner through strategies like trans-locations or hunting, respectively.
적극적 관리는 거주지 이전이나 사냥과 같은 전략을 통해, 각각 규모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과 같이 무언가를 직접적인 방식으로 개체군에게 한다.
Populations can also be actively managed by altering the habitat to the benefit or disadvantage of a population.
개체군들은 또한 서식지를 개체군에게 유리하거나 불리하게 변경함으로써 적극적으로 관리될 수 있다.
If population numbers are too low for the goal of management agencies, other active management can be incorporated, such as predator control to minimize neonatal deaths or habitat improvement to provide required cover for neonates from predators.
만약 개체 수가 관리 기관들의 목표보다 너무 적으면 갓 태어난 개체의 사망을 최소화하는 포식자 통제나 포식자로부터 갓 태어난 새끼들을 위해 필요한 은신처를 제공하는 서식지 개선과 같은 다른 적극적 관리가 포함될 수 있다.
These efforts represent active approaches to management.
이러한 노력들은 관리에 대한 적극적인 접근법을 나타낸다.
Other populations may not be actively managed, like those in national parks.
국립 공원들의 개체군들처럼 다른 개체군들은 적극적으로 관리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In such situations, management activities minimize external influences on populations and habitat, which often involves management of humans and not animals.
그러한 상황들에서 관리 활동들은 개체군들과 서식지에 대한 외부 영향력을 최소화하는데, 그것은 대체로 동물들이 아닌 인간들에 대한 관리를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