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능률 공통영어2 본문(민병천, 2022) Lesson 3.4-3.5
13 카드 | netutor
세트공유
In another story, a tiger hears a mother tell her crying baby, “Don’t cry. Here’s a gotgam.”
또 다른 이야기에서, 호랑이는 한 어머니가 울고 있는 그녀의 아기에게 “울지 마. 여기 곶감이 있단다.”라고 말하는 것을 듣는다.
Because the baby stops crying, the tiger mistakenly thinks the gotgam is a very scary creature and runs away.
그 아기가 울기를 멈추었기 때문에, 호랑이는 그 곶감이 매우 무서운 생명체라고 잘못 생각하고 달아난다.
It seems that people at the time had conflicting feelings about tigers.
그 당시 사람들은 호랑이에 대해 상충되는 감정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y had respect for tigers’power and courage.
그들은 호랑이의 힘과 용기에 대한 존경심이 있었다.
However, they were also scared of tigers because being injured or even killed by tigers was common in the past.
그러나, 과거에는 호랑이에게 상처를 입거나 심지어 죽임을 당하는 일이 흔했기 때문에 호랑이를 무서워하기도 했다.
They may have made tigers into foolish characters in order to be less scared of them.
그들은 호랑이를 덜 무서워하기 위해 호랑이를 어리석은 캐릭터로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Tigers in Korea faced a decline in population due to hunting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nearly went extin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한국의 호랑이들은 조선 시대 동안의 사냥 때문에 개체 수 감소에 직면했고, 일제 강점기 동안 거의 멸종에 이르렀다.
With the disappearance of tigers in Korea, their use as a symbol of the nation faded away.
한국에서 호랑이가 사라지면서, 국가의 상징으로서의 그들의 용도도 희미해졌다.
However, their symbolism was revived in modern times through their selection as the mascot for both Olympics hosted by Korea.
그러나, 한국에서 열린 두 올림픽의 마스코트로 선정되면서 그들의 상징성이 현대에 되살아났다.
Hodori was the mascot for the Seoul Summer Olympics in 1988.
호돌이는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의 마스코트였다.
It was a Siberian tiger, which represents courage.
그것은 시베리안 호랑이였는데, 그들은 용기를 상징한다.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in 2018 created Soohorang, a white tiger, as its mascot.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은 백호인 수호랑을 그것의 마스코트로 만들었다.
White tigers are considered sacred guardians.
백호는 신성한 수호자로 여겨진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