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uld you please teach me to make a pot someday?” begged Tree-ear.
“도자기 그릇을 만드는 방법을 언젠가 좀 가르쳐 주실 수 있나요?” 목이(木耳)는 간청했다.
“No, I will never do that,” said Potter Min.
“아니, 결코 그럴 일은 없을 게다.” 도공 민 영감이 말했다.
“Why won’t you teach me?” Tree-ear cried out.
“왜 가르쳐 주지 않는 거죠?” 목이는 소리 높였다.
“The potter’s trade passes from father to son. If you were my son, I would teach you, but ...”
“도공의 업(業)이란 아비에서 아들로 이어지는 법이다. 만약 네가 나의 아들이라면 너를 가르치겠다, 하지만 ...”
Tree-ear was a boy without parents.
목이는 부모가 없는 소년이었다.
He loved to watch Potter Min make pots and vases.
그는 도공 민 영감이 도자기 그릇과 화병을 만드는 걸 보기를 좋아했다.
The potter’s work was the finest in Julpo, perhaps even in the whole country.
민 영감의 도자기 작품은 줄포에서 가장 뛰어났고, 아마도 나라 전체를 통틀어서도 그러했을 것이다.
Tree-ear dreamed of making beautiful vases like Potter Min.
목이는 민 영감처럼 아름다운 도자기 화병을 만드는 것을 꿈꿨다.
But how could he become a potter without learning from the master?
하지만 도자기 장인 민 영감의 가르침 없이 어떻게 도공이 될 수 있단 말인가?
Even though Potter Min did not teach him, Tree-ear helped Potter Min everyday, digging clay near the river and cutting wood on the mountain.
도공 민 영감이 도자기 만드는 법을 가르쳐 주지 않았지만, 목이는 강가에서 진흙을 파 오고 산에서 나무를 해 오며 민 영감을 매일 도왔다.
One day, a royal officer came to Julpo to choose a potter to make pottery for the king.
그러던 어느 날, 왕실 관리가 왕에게 도자기를 만들어 바칠 도공을 선택하기 위해 줄포에 왔다.
All of the famous potters presented their best pottery.
모든 유명한 도공들은 자신의 최고의 도자기를 내놓았다.
Potter Min’s work was excellent, but the officer wanted something special: black and white inlay designs in the pottery.
(그중에서도) 민 영감의 작품이 탁월했으나 관리는 뭔가 특별한 것을 원하였다. 그것은 도자기에 흑백의 상감 기법이 사용된 문양을 넣는 것이었다.
He told Potter Min, “I’m now returning to Songdo. Produce something creative using the new inlay style, and bring it to me. If it is fine enough, you will have a chance to work for the king.”
그는 민 영감에게 말했다, “난 지금 송도로 돌아갑니다. 새로운 상감 기법을 사용하여 창의적인 작품을 만들어 나에게 가져오도록 하시오. 만약 작품이 훌륭하면 왕을 위해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Potter Min worked for months and finally made a pair of beautiful vases with inlay designs.
민 영감은 여러 달 동안 작업을 하여 마침내 상감기법이 들어간 아름다운 도자기 화병 두 개를 완성하였다.
He was so old that he couldn’t travel to Songdo, so Tree-ear volunteered to go.
그는 너무 나이가 들어 송도로 여행할 수 없었기에 목이가 대신 가겠다고 자청하였다.
Potter Min put the vases carefully in the jige on Tree-ear’s back for the long journey.
민 영감은 목이가 등에 지고 있는 지게에 화병들을 조심스럽게 놓아 긴 여행길을 떠날 수 있게 하였다.
Tree-ear walked for days passing through towns, crossing rivers, and climbing over mountains.
목이는 마을을 지나가고, 강을 건너고, 산을 넘으며 여러 날을 걸었다.
On the day before he got to Songdo, he came to a cliff.
송도에 도착하기 전날, 목이는 절벽에 이르렀다.
Just then, two robbers attacked him, looking for food and money.
바로 그때, 두 명의 강도가 음식과 돈을 빼앗기 위해 목이를 공격했다.
They were disappointed to find only vases.
그들은 도자기 화병만을 발견하고는 매우 실망하였다.
So they threw them over the cliff and ran away.
그리하여 강도들은 화병들을 절벽 아래로 던지고는 도망가 버렸다.
Tree-ear ran quickly to the bottom of the cliff only to find that both vases were completely broken.
목이는 재빨리 절벽 맨 아래쪽으로 달려갔지만 두 화병 모두 완전히 박살난 것을 발견하였을 뿐이었다.
“If I had one unbroken vase, I could take it to Songdo. But now, how can I return to the master?” Tree-ear thought.
“만약 하나라도 온전한 화병이 있다면 그것을 송도로 가져갈 수 있을 텐데. 하지만 이제 어떻게 스승님께 돌아갈 수 있단 말인가?”라고 목이는 생각했다.
Suddenly, he found a shard that was the size of his palm.
갑자기 그는 자신의 손바닥 크기의 사금파리(깨진 도자기 조각) 한 조각을 발견하였다.
It still had part of an inlaid flower with its leaves.
그것에는 상감 기법으로 새겨진 꽃과 잎사귀 일부가 보존되어 있었다.
“There is still a chance,” he said to himself.
“아직 기회는 있어.”라고 목이는 혼잣말을 했다.
Then Tree-ear took the shard and continued on his journey.
그러고 나서 목이는 그 사금파리를 가지고 여정을 계속하였다.
Hungry and tired, Tree-ear arrived at the palace in Songdo and showed the shard to the royal officer.
배고프고 지친 상태로, 목이는 송도에 있는 왕궁에 도착하여 왕실 관리에게 사금파리를 보여 주었다.
“It is but a single shard. And yet, it shows the skill of my master,” said Tree-ear.
“이것은 사금파리 한 조각에 불과합니다만, 제 스승의 기예(技藝)를 충분히 보여 줍니다.”라고 목이는 말했다.
A smile spread over the officer’s face.
관리의 얼굴에 미소가 퍼졌다.
He said, “I have never seen this kind of inlay work! It’s just wonderful. Tell your master that he can work for the king.”
“이렇게 훌륭한 상감 기법이 들어간 작품을 여태껏 보지 못했다! 정말 훌륭하구나. 너의 스승에게 임금님을 위해 일할 수 있게 되었다고 전하여라.”라고 관리는 말했다.
Tree-ear came back to Julpo with the good news.
목이는 그 좋은 소식을 가지고 줄포에 돌아왔다.
Potter Min was so glad to hear the news but even more pleased to see Tree-ear.
민 영감은 그 소식을 듣고 매우 기뻤지만 목이를 보고 훨씬 더 기뻐하였다.
He felt like he was seeing his dead son Hyeong-gu again.
그는 자신의 죽은 아들 형구를 다시 보고 있는 것 같이 느꼈다.
“Get some logs as big as a man’s body,” said Potter Min.
“남자의 몸통만한 통나무를 마련해 오거라.” 하고 민 영감이 말했다.
“Why so big?” Tree-ear asked.
“왜 그렇게 커야 하지요?” 목이가 물었다.
“How are you going to make your pottery without a potter’s wheel of your own?”
“너 자신의 물레도 가지지 않고 어떻게 도자기를 만든 다는 것이냐?”
“My own wheel?”
“제 물레요?”
“Yes. And I will call you Hyeong-pil from now on.”
“그렇다. 그리고 지금부터 너를 형필이라고 부르겠다.”
Tree-ear was so surprised that he couldn’t believe his ears.
목이는 너무 놀라 자신의 귀를 믿을 수 없었다.
Now, he had a name that shared a character with Potter Min’s dead son Hyeong-gu!
이제 목이는 도공 민 영감의 죽은 아들 형구와 같은 돌림자를 쓰는 이름을 갖게 된 것이다!
Hyeong-pil started to push the cart up the mountain path.
형필은 산으로 난 길을 따라 손수레를 밀기 시작했다.
As he watched a crane in the distance, he dreamed of the beautiful vase that he would make.
그는 저 멀리 있는 학을 바라보면서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아름다운 화병을 꿈꾸었다.
One of the finest examples of Korean inlaid pottery is called the “Thousand Cranes Vase.”
상감 기법이 사용된 한국의 가장 훌륭한 도자기 가운데 하나는 ‘천학매병’이라고 불린다.
Its maker is unknown.
제작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It was six years ago that I met the little prince in the Sahara Desert.
내가 사하라 사막에서 어린 왕자를 만난 건 6년 전이었다.
I flew alone across Africa and had an accident with my airplane.
나는 홀로 아프리카를 가로질러 비행을 했고 비행기 사고를 당했다.
Something was broken in the engine, so I had to make a landing in the middle of the desert.
엔진 속 무엇인가가 고장이 나서, 나는 사막의 한가운데에 착륙할 수밖에 없었다.
Soon after the landing, night fell.
착륙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밤이 되었다.
I went to sleep on the sand, a thousand miles from any houses.
나는 어느 집에서든 천 마일은 떨어져 있는 모래 위에서 잠이 들었다.
I felt so tired and alone that you can imagine my surprise at sunrise, when I was woken up by a little voice.
나는 너무 피곤하고 외로웠기에, 동틀 녘 작은 목소리에 깨어났을 때의 나의 놀람을 당신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It said, “Which planet are you from?”
그 목소리는 “어느 행성에서 왔니?”라고 말했다.
The voice was from a little prince standing in front of my broken airplane.
그 목소리는 나의 고장 난 비행기 앞에 서 있던 어린왕자로부터 온 것이었다.
I was so happy to see him, and we talked a while.
나는 그를 봐서 너무 행복했고, 우리는 한동안 이야기를 했다.
He was friendly and laughed a lot.
그는 다정했고 많이 웃었다.
It did not take long to learn that he came from a small planet and was looking for a sheep!
그가 조그만 행성에서 왔고 양 한 마리를 찾고 있는 중이었다는 사실을 아는 데에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But that did not really surprise me much.
그러나 그 사실은 나를 그렇게 많이 놀라게 하지는 않았다.
I knew very well that in addition to the great planets such as Earth, Jupiter, and Venus, there are also lots of others, which cannot be seen without a telescope.
나는 지구, 목성, 금성과 같은 대단한 행성 이 외에, 망원경 없이는 볼 수 없는 수많은 다른 행성들이 있다는 사실을 매우 잘 알고 있었다.
I believe that the little prince came from Β-612.
나는 어린 왕자가 B-612에서 왔다고 믿는다.
This planet has only once been seen through a telescope.
이 별은 망원경으로 딱 한 번 관찰된 적이 있다.
That was by a Turkish astronomer in 1909.
1909년 터키의 천문학자에 의해서 말이다.
When he made his discovery, the astronomer presented it to the International Astronomical Congress.
그 천문학자가 그 별을 발견했을 때, 그는 국제천문 학회에서 이를 발표했었다.
But he was dressed in clothes that were not from Europe, so nobody would believe what he said.
하지만 그가 유럽에서 유래되지 않은 복장을 하고 있어서, 아무도 그가 말한 것을 믿으려 하지 않았다.
Fortunately, however, the Turkish astronomer was allowed a chance to give his presentation all over again in 1920.
그러나, 운이 좋게도, 그 터키인 천문학자는 1920년에 발표를 모두 다시 할 기회를 얻게 되었다.
And this time he was dressed in clothes from Europe, and everybody believed his report.
이번에는 그가 유럽에서 유래된 복장을 하였기에 모두가 그의 보고를 믿었다.
Grown-ups are like that.
어른들은 그렇다.
When you tell them that you have made a new friend, they never ask you any questions about important things.
당신이 그들에게 새로운 친구를 사귀었다고 말하면, 그들은 결코 중요한 것들에 대해서는 질문을 하지 않는다.
They never say to you, “What does his voice sound like? What games does he love best? Does he collect butterflies?”
그들은 여러분들에게 “그 애의 목소리는 어떠니? 그 애는 어떤 게임을 제일 좋아하니? 그 애는 나비를 수집하니?”라고 결코 말하지 않는다.
Instead, they ask, “How old is he? How many brothers does he have? How much money does his father make?”
대신 그들은, “그 애는 몇 살이니? 형제는 몇 명이니? 그 애의 아버지의 수입은 얼마나 되니?”라고 묻는다.
They all love numbers and think they have learned things only from numbers.
그들은 모두 숫자를 사랑하며, 오직 숫자를 통해 배워 왔다고 생각한다.
If you were to say to grown-ups, “I saw a beautiful house made of colorful stone, with flowers in the windows and birds on the wall,” they would not be able to get any idea of that house at all.
만약 당신이 어른들에게 “창에 꽃이 있고 벽 위에 새들이 있는, 다채로운 돌로 지어진 아름다운 집을 봤어요.”라고 말한다면, 그들은 그 집에 대해 어떤 생각도 갖지 못할 것이다.
You would have to say to them, “I saw a house that cost 100,000 francs.”
당신은 그들에게 “10만 프랑짜리 집을 봤어요.”라고 말해야 할 것이다.
Then they would cry, “Oh, what a house!”
그러면 그들은 “오, 정말 근사한 집이구나!”하고 외칠 것이다.
That’s what happened when I told grown-ups about the little prince after returning from the desert.
내가 사막에서 돌아온 다음 어른들에게 어린 왕자에 대해 말했을 때에도 그러한 일은 벌어졌다.
I said to them, “I met a little prince in the middle of the Sahara Desert. He was friendly, laughed a lot, and was looking for a sheep. If anybody wants a sheep, that shows that he or she exists.”
나는 그들에게 “나는 사하라 사막 한가운데에서 어린 왕자를 만났어요. 그는 다정했고, 많이 웃었고, 양 한 마리를 찾고 있었어요. 만약 누군가가 양을 원한다면, 그것은 그 또는 그녀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 주는 거예요.”라고 말했다.
But they showed no interest and treated me like a child.
하지만 그들은 아무런 관심을 보이지 않았고, 나를 어린아이처럼 취급하였다.
They are like that.
어른들은 그렇다.
One must not hold it against them.
그 때문에 어른들을 나쁘게 생각해서는 안 된다.
Children should always show great patience toward grown-up people.
어린아이들은 항상 어른들에게 대단한 참을성을 보여 주어야 한다.
I should have said to them, “The planet he came from is Planet B-612.”
나는 그들에게 “그가 온 행성은 B-612예요.”라고 말했어야 했다.
Then they would have understood and believed that I had met the little pri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