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technology called organ-on-a-chip creates tiny models of human organs on microchips.
장기 칩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기술은 마이크로칩에 인간 장기의 아주 작은 모형을 만든다.
These chips contain living cells and circuits that act like blood vessels.
이 칩에는 살아있는 세포와 혈관처럼 작용하는 전기 회로가 포함되어 있다.
They allow scientists to simulate how our organs work and react in our bodies.
그것들은 과학자들이 우리 몸에서 장기가 어떻게 기능하고 반응하는지 모의실험을 하게 해준다.
This groundbreaking technology has several advantages.
이 획기적인 기술은 몇 가지 장점이 있다.
First of all, using it can replace animal testing for drugs.
우선, 이것을 이용하면 약물을 위한 동물 실험을 대체할 수 있다.
Animal testing can be unethical.
동물 실험은 비윤리적일 수 있다.
Also, it may not accurately predict the influence of a drug on humans.
또한, 그것은 인간에 대한 약물의 영향을 정확하게 예측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Organ-on-a-chip uses human cells, so we can get more accurate results.
장기 칩은 인간의 세포를 사용해서,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Additionally, organ-on-a-chip can suggest better treatments.
게다가, 장기 칩은 더 나은 치료법을 제시할 수 있다.
Doctors can observe or even predict the progress of a disease on a chip.
의사들은 칩에서 질병의 진행을 관찰하거나 심지어 예측할 수 있다.
Also, using cells from patients will show how a treatment will actually work on them.
또한, 환자의 세포를 사용하는 것은 치료 약이 실제로 환자에게 어떻게 작용할지 보여줄 것이다.
So far, scientists have succeeded in creating many organs on chips.
지금까지 과학자들은 칩 위에 많은 장기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These include lungs, kidneys, hearts, and many others.
이것들은 폐, 신장, 심장, 그리고 많은 다른 것들을 포함한다.
There are even chips with multiple organs.
심지어 많은 장기가 있는 칩도 있다.
Scientists expect that it will be possible to create every organ in the human body on a single chip in the near future.
과학자들은 가까운 미래에 한 개의 칩 위에 인체의 모든 장기를 만드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CPR is a first-aid technique used to save lives when someone’s heart stops beating.
심폐소생술은 누군가의 심장이 뛰는 것을 멈출 때 생명을 구하는 데 사용되는 응급 처치 기술이다.
It includes chest compressions with both hands and mouth-to-mouth breathing.
그것은 양손을 이용한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을 포함한다.
CPR provides blood and oxygen to the brain and other organs by restoring the patient’s heartbeat.
심폐소생술은 환자의 심장 박동을 회복시킴으로써 뇌와 다른 장기에 혈액과 산소를 공급한다.
The history of CPR dates back to the 1700s, when the use of mouth-to-mouth was first recorded.
심폐소생술의 역사는 인공호흡의 사용이 최초로 기록된 170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It was used to revive a drowning person.
그것은 물에 빠진 사람을 되살리는 데 사용되었다.
In the 19th century, attempts were made to save people whose hearts had stopped.
19세기에는 심장이 멈춘 사람들을 구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Initially, doctors opened the patient’s chest and directly massaged the heart.
처음에는 의사들이 환자의 흉부를 열고 심장을 직접 마사지했다.
But they discovered that they could save lives by simply pressing on the chest rather than opening it.
그러나 그들은 가슴을 여는 것보다는 단순히 흉부에 압박을 가함으로써 생명을 구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Later on, experts found that the most effective way to revive a person was to combine chest compressions and mouth-to-mouth, which became modern CPR.
나중에, 전문가들은 사람을 되살리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흉부 압박과 인공호흡을 결합시키는 것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는데, 이것이 현대 심폐소생술이 되었다.
Since then, CPR guidelines have been developed.
그 이후로 심폐소생술 지침이 발전되었다.
A new recommendation released in 2008 says that in most situations only chest compressions should be given.
2008년에 발표된 새로운 권고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흉부 압박만 실시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Today, people can easily receive CPR training at school, work, or medical institutions.
오늘날 사람들은 학교, 직장, 또는 의료기관에서 쉽게 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을 수 있다.
With widespread CPR knowledge, we can increase the number of lives that are saved.
널리 퍼진 심폐소생술 지식으로 우리는 구해지는 생명의 수를 늘릴 수 있다.
Modern people are generally attracted to high-calorie food that is also high in fat or sugar.
현대인들은 지방이나 설탕도 많이 들어 있는 고칼로리 음식에 일반적으로 끌린다.
This is not simply because we think these things are delicious
이것은 단순히 우리가 이런 것들을 맛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은 아니다.
We tend to overeat this type of food because evolution has taught us to do so over thousands of years.
진화가 우리에게 수천 년 동안 그렇게 하도록 가르쳐 왔기 때문에 우리는 이런 종류의 음식을 과식하는 경향이 있다.
In the past, people often didn’t have enough food.
과거에, 사람들은 음식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자주 있었다.
So they ate as much as they could when food was available.
그래서 그들은 음식을 구할 수 있을 때 먹을 수 있는 만큼 많이 먹었다.
They had to hunt animals or gather plants for their food.
그들은 음식을 얻기 위해 동물을 사냥하거나 식물을 채집해야 했다.
These activities required a lot of calories.
이러한 활동은 많은 칼로리를 필요로 했다.
As a result, humans evolved to desire high-calorie foods such as meat and sugar.
그 결과, 인간은 고기나 설탕과 같은 고칼로리 음식을 원하도록 진화했다.
Today we have plenty of food, so we don’t need to eat as much high-calorie food.
오늘날 우리는 음식이 풍부해서, 그만큼 많은 고칼로리 음식을 먹을 필요가 없다.
Unfortunately, our body has the same cravings as it did in the past.
불행하게도, 우리 몸은 과거에 그랬던 것과 똑같은 갈망을 가지고 있다.
This causes us to overeat and take in more calories than we actually need.
이것이 우리를 과식하게 하고 우리가 실제로 필요한 것보다 더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게 한다.
What once helped our ancestors survive now harms our health, leading to obesity, high blood pressure, and heart disease.
한때 우리 조상들이 생존하는 것을 도왔던 것이 이제는 우리의 건강을 해치고 비만, 고혈압, 심장병에 이르게 한다.
As humans have evolved over millions of years, we have experienced many changes.
인간이 수백만 년에 걸쳐 진화함에 따라 우리는 많은 변화를 경험해왔다.
Our bodies are smaller than those of our ancestors.
우리의 몸은 조상들의 그것들보다 더 작다.
So are our brains.
우리의 뇌도 그렇다.
The human brain reached its peak in size about 15,000 to 30,000 years ago.
인간의 뇌는 약 15,000년에서 30,000년 전에 크기가 최대치에 달했다.
Since then it has shrunk in mass by about 10 percent.
그때 이후로 부피가 약 10% 정도 줄어들었다.
One possible reason is that many thousands of years ago, humans lived in a world of dangerous predators, so they had to remain alert to avoid being attacked or killed.
한 가지 가능한 이유는 수천 년 전에 인간은 위험한 포식자의 세계에 살았고, 그래서 그들은 공격을 받거나 죽임당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경계 상태를 유지해야 했다는 것이다.
Today, we live in a very different environment.
오늘날 우리는 매우 다른 환경에 살고 있다.
We rely on society to handle many of the tasks related to survival.
우리는 생존과 관련된 많은 일들을 처리하기 위해 사회에 의존한다.
The police protect us, construction companies build our homes, and farmers grow our food.
경찰은 우리를 보호하고, 건설 회사는 우리의 집을 짓고, 농부들은 우리의 식량을 재배한다.
Having smaller brains may not mean that we are dumber, as brain size is not necessarily a measure of human intelligence.
뇌 크기가 반드시 인간 지능의 척도는 아니기 때문에, 더 작은 뇌를 갖고 있다는 것이 우리가 더 멍청하다는 의미는 아닐 수 있다.
But it could mean that our brains today are wired differently and perhaps more efficiently than those of our ancestors.
그러나, 이는 오늘날 우리의 뇌가 우리 조상들의 뇌와 다르게, 아마도 더 효율적으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However, there is a lot of research still to be done on this top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