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ompidou Center, located in the heart of Paris, is home to modern and contemporary art.
파리 중심부에 위치한 퐁피두 센터는 근현대 미술의 본고장이다.
It is also well known for its architectural design.
그것은 또한 건축학적 디자인으로도 아주 유명하다.
The center’s most impressive feature is the high-tech architectural style of its exterior.
센터의 가장 인상적인 특징은 외부의 첨단 건축 양식이다.
The building’s “inside-out” design exposes its steel frame and mechanical systems.
건물의 ‘안팎이 바뀐’ 디자인은 철골과 기계 설비를 드러낸다.
Each system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bold color: blue for air circulation, yellow for electricity, green for plumbing, and red for transportation.
각 설비는 각기 다른 선명한 색깔로 표시되는데, 파란색은 공기 순환, 노란색은 전기, 녹색은 배관, 그리고 빨간색은 이동 수단이다.
The front of the building features a series of glass-covered escalators known as the “caterpillar.”
건물 전면에는 ‘애벌레’라고 알려진 유리로 싸여 있는 일련의 에스컬레이터가 특징을 이룬다.
The building’s interior is as impressive as its exterior.
건물의 내부는 외부만큼이나 인상적이다.
Surprisingly, it has no pillars — exterior frames support the ceilings.
놀랍게도, 그것은 기둥이 없다. 다시 말하면, 외부 뼈대들이 천장을 지탱한다.
This design means it has unlimited exhibition spaces.
이 디자인은 퐁피두 센터가 제한이 없는 전시 공간을 가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So it is the perfect place to display art such as paintings, sculptures, and multimedia installations.
그래서 그곳은 회화, 조각, 멀티미디어 설치 미술과 같은 예술 작품을 전시하기에 완벽한 장소이다.
At first, people had negative reactions to the unique look of the Pompidou Center.
처음에 사람들은 퐁피두 센터의 독특한 모습에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However, over time, they have come to recognize its value and beauty.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은 그것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인식하게 되었다.
Today, this iconic building is a landmark in Paris.
오늘날, 이 상징적인 건물은 파리의 랜드마크이다.
Even if you don’t know the word “dystopia,” you may have heard of the novel The Hunger Games and the movie Snowpiercer.
비록 당신이 ‘디스토피아’라는 단어를 모른다고 해도, 당신은 소설 ‘헝거 게임’이나 영화 ‘설국열차’는 들어봤을 것이다.
In both of these, the world is a dystopia, where the conditions of human life are miserable.
이 두 가지 모두에서 세상은 디스토피아이고 그곳에서 인간의 삶의 조건은 비참하다.
To understand dystopias, you should first understand what a utopia is.
디스토피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유토피아가 무엇인지 이해해야 한다.
A utopia is a perfect place where everything is wonderful.
유토피아는 모든 것이 멋진 완벽한 곳이다.
Of course, utopias can never exist, because human beings are imperfect in reality.
물론, 인간은 실제로는 불완전하기 때문에 유토피아는 결코 존재할 수 없다.
A dystopia is the opposite of a utopia.
디스토피아는 유토피아의 반대이다.
In dystopian fiction, the world in an imagined future faces some disastrous situation, such as war, environmental destruction, or an oppressive government.
디스토피아 소설에서, 상상된 미래 속 세계는 전쟁, 환경 파괴, 억압적인 정부와 같은 어떤 비참한 상황에 직면한다.
Citizens in a dystopian society live under strict control, and information and freedom are restricted.
디스토피아 사회의 시민들은 엄격한 통제 하에서 살아가며, 정보와 자유는 제한된다.
The main characters usually question the existing social and political systems and struggle to make a change.
주인공들은 대개 기존의 사회,정치 체제에 의문을 갖고 변화를 만들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This kind of situation reflects some of the issues we currently face, so dystopian fiction can serve as a warning.
이런 종류의 상황은 우리가 현재 직면한 일부 문제를 반영하므로, 디스토피아 소설은 경고의 역할을 할 수 있다.
It shows us how things could go wrong if we don’t face reality and deal with these issues directly.
그것은 만약 우리가 현실을 직시하고 이러한 문제들을 즉시 처리하지 않으면, 상황이 어떻게 잘못될 수 있는지 보여준다.
Most of the time, when a foreign language is spoken in a film, subtitles are used to translate the dialogue for the viewer.
대부분의 경우, 영화에서 외국어가 사용될 때 관객을 위해 대화를 번역하기 위해 자막이 사용된다.
However, there are occasions when foreign dialogue is not subtitled.
그러나 외국어 대화에 자막이 없는 경우가 있다.
As a result, most of the audience can’t understand what the characters are saying.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관객은 등장인물들이 무슨 말을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
This is often done when a director wants a movie to be seen from the viewpoint of a particular character.
이것은 감독이 특정 인물의 관점에서 영화가 보여지기를 원할 때 자주 행해진다.
When a character doesn’t understand the language being spoken by other characters, he or she feels disconnected.
한 등장인물이 다른 등장인물들이 말하고 있는 언어를 이해하지 못하면, 그들은 단절감을 느낀다.
The absence of subtitles allows the audience to feel a similar sense of confusion and disconnection.
자막의 부재는 관객으로 하여금 비슷한 혼란과 단절감을 느끼게 한다.
For example, in the movie Not Without My Daughter, the Iranian characters speak Persian, but there are no subtitles for their dialogue.
예를 들어, 영화 ‘Not Without My Daughter(솔로몬의 딸)’에서 이란인 등장인물들은 페르시아어를 말하지만, 그들의 대화에는 자막이 없다.
This is because the main character, Betty, doesn’t speak Persian, and the movie’s plot is shown from her perspective.
이것은 주인공 Betty가 페르시아어를 못하는데, 영화의 구성이 그녀의 관점에서 보여지기 때문이다.
This makes it easier for the audience to empathize with her feelings.
이것은 관객이 그녀의 감정에 더 쉽게 공감할 수 있게 해 준다.
Before New York’s Battery Park City became a place full of fancy high-rises, financial headquarters, and tourist attractions, the area behind the World Trade Center was a giant landfill.
뉴욕의 배터리 파크 시티가 화려한 고층 건물, 금융 본부, 그리고 관광 명소로 가득한 곳이 되기 전에 세계 무역 센터 뒤의 그 지역은 거대한 쓰레기 매립지였다.
In 1982, artist Agnes Denes decided to temporarily return the landfill to the way it was before.
1982년, 예술가 Agnes Denes(아그네스 데네스)는 쓰레기 매립지를 일시적으로 그것이 예전에 그랬던 대로 되돌려 놓기로 결심했다.
The Public Art Fund asked her to create one of the most amazing pieces of public art Manhattan has ever seen.
공공 예술 기금은 그녀에게 맨해튼이 지금까지 본 가장 멋진 공공 예술 작품들 중에 하나를 만들어달라고 요청했다.
Her concept was not a traditional sculpture—instead, it was a living installation that changed the way people looked at art.
그녀의 콘셉트는 전통적인 조각품이 아니었고, 그 대신 사람들이 예술을 보는 방식을 바꾸는 살아있는 설치 미술이었다.
Denes planted a wheat field right next to the Twin Towers.
Denes는 쌍둥이 빌딩 바로 옆에 밀밭을 심었다.
To create this public work of art, named Wheatfield — A Confrontation, Denes and volunteers cleaned up a large area of land that was filled with trash and planted a field of golden wheat.
Wheatfield — A Confrontation이라는 이 공공 예술 작품을 만들기 위해 Denes와 자원봉사자들은 쓰레기로 가득 찬 넓은 땅을 청소하고 황금빛 밀밭을 심었다.
After months of farming, the wheat field was ready.
몇 달 간의 농사 후에, 밀밭이 완성되었다.
The artist and her volunteers harvested a huge amount of wheat to give to food banks in the city, nourishing both the minds and bodies of New Yorkers.
그 예술가와 그녀의 자원봉사자들은 도시의 푸드 뱅크에 기부할 엄청난 양의 밀을 수확하였고, 뉴욕 사람들의 정신과 육체 모두에 영양분을 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