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ut some of them don’t want to go to a bookstore or wait for new books to be delivered.
하지만 그들 중 일부는 서점에 가거나 신간이 배송되기를 기다리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So they sign up for e-book services.
그래서 그들은 전자책 서비스에 가입한다.
By paying a fixed monthly or annual fee, they can read countless books online.
고정된 월별 또는 연간 요금을 지불함으로써 그들은 온라인에서 수많은 책을 읽을 수 있다.
This kind of business model is part of the “subscription economy.”
이런 종류의 사업 모델은 ‘구독 경제’의 일부이다.
The subscription economy has become increasingly popular due to digital technologies.
구독 경제는 디지털 기술로 인해 점점 더 인기가 많아졌다.
Streaming services such as Netflix, music apps such as Spotify, and food delivery services such as HelloFresh all provide products or services for a regular fee.
넷플릭스와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 스포티파이와 같은 음악 앱, 헬로프레시와 같은 음식 배달 서비스는 모두 정기적인 요금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subscription economy offers benefits to both consumers and businesses.
구독 경제는 소비자와 기업 둘 다에게 혜택을 제공한다.
It allows consumers to access products and services at a lower cost than a one-time purchase.
그것은 소비자가 일회성 구매보다 더 저렴한 가격으로 제품과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준다.
Also, they don’t have to order the products or services again and again, so it is more convenient.
또한, 그들은 제품이나 서비스를 반복해서 주문할 필요가 없어서, 더욱 편리하다.
As for businesses, their income is more stable and predictable when they use the subscription model.
기업의 경우, 구독 모델을 사용할 때 수입이 더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하다.
In addition, these companies can build stronger relationships with customers by offering personalized experiences.
게다가, 이 기업들은 개인 맞춤형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과 더욱 강력한 관계를 쌓을 수 있다.
When companies try to sell products, most focus on the popular ones rather than the less popular ones.
기업이 제품을 판매하려고 할 때, 대부분은 덜 인기 있는 제품보다는 인기 있는 제품에 집중한다.
But when small things come together, they can add up to something big.
하지만 작은 것들이 모이면, 그것들은 합쳐져서 어떤 큰 것이 될 수 있다.
The long tail principle is a business strategy based on this concept.
롱테일 법칙은 이러한 개념을 근거로 한 사업 전략이다.
In the past, sellers had to focus on a few popular items because of the limited shelf space in shops.
과거에는 매장 내 한정된 진열 공간 때문에 판매자들은 소수의 인기 있는 제품에 집중해야 했다.
However, with the development of the Internet and e-commerce, huge online stores like Amazon can now offer a wide variety of items without any physical limits.
그러나 인터넷과 전자 상거래의 발달로 아마존과 같은 대형 온라인 상점은 이제 물리적인 제약 없이 매우 다양한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So consumers can easily buy less popular items.
그래서 소비자들은 덜 인기 있는 제품을 쉽게 구입할 수 있다.
For businesses, the profits from a large number of less popular items can become as important as the profits from a few popular ones.
기업의 경우, 덜 인기 있는 다수의 제품에서 얻는 이익은 소수의 인기 있는 제품에서 얻는 이익만큼 중요해질 수 있다.
The principle got its name from the graph of sales profits, which looks like it has a long tail.
이 법칙은 매출 이익 그래프에서 이름을 얻었는데, 그 그래프는 긴 꼬리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The long tail represents the lower demand for many less popular items.
긴 꼬리는 다수의 덜 인기 있는 제품에 대한 더 낮은 수요를 보여준다.
It shows that the profit each of them creates is not huge, but together they make up a significant portion of overall sales.
그것은 그들 각각이 창출하는 이익이 크지 않지만, 합치면 그것들은 전체 매출에서 상당한 부분을 이룬다는 것을 보여준다.
According to the law of demand, when the price of an item goes up, people tend to buy less of it.
수요의 법칙에 따르면, 어떤 물건의 가격이 오르면, 사람들은 그 물건을 더 적게 사는 경향이 있다.
And if the price goes down, people tend to buy more of it.
그리고 가격이 내리면, 사람들은 그것을 더 많이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However, some goods don’t follow this law.
그러나 일부 상품은 이 법칙을 따르지 않는다.
They are called Veblen goods.
그것들은 베블런재라고 불린다.
Veblen goods are named after Thorstein Veblen, an economist who developed the theory of “conspicuous consumption.”
베블런재는 ‘과시적 소비’ 이론을 발전시킨 경제학자 Thorstein Veblen(소스타인 베블런)의 이름에서 따왔다.
The theory says that the demand for certain goods increases as their prices rise.
이 이론에 따르면 특정 상품에 대한 수요는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증가한다.
According to Veblen, these goods signal high status.
Veblen에 따르면 이러한 상품은 높은 지위를 나타낸다.
People are willing to pay higher prices not because they want better quality but because they want to show their wealth.
사람들은 더 나은 품질을 원해서가 아니라 자신의 부를 보여주고 싶어서 더 높은 가격을 기꺼이 지불한다.
Therefore, true Veblen goods are not noticeably better than similar products that are cheaper.
그러므로, 진정한 베블런재는 더 저렴한 비슷한 상품들보다 눈에 띄게 더 좋은 것이 아니다.
If the prices of these items go down, rich people might stop buying them because they won’t seem special anymore.
이러한 물건의 가격이 내려가면, 부자들은 그것들이 더 이상 특별해 보이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구매를 중단할 수도 있다.
This kind of behavior is seen when people purchase luxury cars, champagne, watches, and expensive clothes.
이런 행동은 사람들이 고급 자동차, 샴페인, 시계, 비싼 옷을 구입할 때 보인다.
If their prices go down, more people might buy them at first, but then sales will begin to fall.
그것들의 가격이 내려가면, 처음에는 더 많은 사람들이 구매할지도 모르지만, 그러고 나서는 판매량이 감소하기 시작할 것이다.
Paying taxes is something that cannot be avoided.
세금을 납부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어떤 것이다.
For example, when we buy something, we often have to pay a tax.
예를 들어, 우리가 물건을 살 때, 우리는 자주 세금을 내야 한다.
The government uses this money to pay for things that are important for everyone, such as schools, roads, and public services.
정부는 이 돈을 학교, 도로, 공공 서비스와 같은 모두에게 중요한 것에 비용을 지불하는 데 사용한다.
We often debate whether taxes are fair.
우리는 종종 세금이 공정한지 아닌지 대해 논쟁을 벌인다.
We wonder if they will have a bigger impact on the rich or the poor.
우리는 그것이 부자 또는 가난한 사람들에게 더 큰 영향을 미칠지 궁금해한다.
However, taxes have a deeper meaning beyond fairness.
그러나 세금은 공정함을 넘어 더 깊은 의미가 있다.
They also reflect society’s judgments on which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or discouraged.
그것은 또한 어떤 활동이 권장되어야 하는지, 아니면 막아져야 하는지에 대한 사회의 판단을 반영한다.
Sometimes these judgements are explicit.
때때로 이러한 판단은 명백하다.
Taxes on tobacco, alcohol, and casinos are called “sin taxes.”
담배, 술, 카지노에 부과되는 세금은 `죄악세’라고 불린다.
Such taxes aim to discourage harmful activities by making them more expensive.
이러한 세금은 해로운 활동들을 더 비싸게 만들어서 그것들을 막는 것을 목표로 한다.
Some organizations want to tax sugary sodas to stop obesity or carbon emissions to slow down climate change.
일부 기관은 비만을 막기 위해 설탕이 든 탄산음료에 세금을 부과하거나 기후 변화를 늦추기 위해 탄소 배출에 세금을 부과하길 원한다.
However, not all taxes have this type of goal.
그러나 모든 세금에 이런 종류의 목적이 있는 것은 아니다.
Income taxes or sales taxes are simply ways of raising revenue.
소득세나 판매세는 단순히 세입을 늘리는 방법이다.
They are not intended to discourage people from doing or buying certain things.
그것들은 사람들이 특정한 일을 하거나 특정한 것을 구매하는 것을 막기 위해 의도된 것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