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능률 공통영어2 본문(민병천, 2022) Lesson 3.5-3.7
15 카드 | netutor
세트공유
Tigers in Korea faced a decline in population due to hunting during the Joseon period and nearly went extinc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한국의 호랑이들은 조선 시대 동안의 사냥 때문에 개체 수 감소에 직면했고, 일제 강점기 동안 거의 멸종에 이르렀다.
With the disappearance of tigers in Korea, their use as a symbol of the nation faded away.
한국에서 호랑이가 사라지면서, 국가의 상징으로서의 그들의 용도도 희미해졌다.
However, their symbolism was revived in modern times through their selection as the mascot for both Olympics hosted by Korea.
그러나, 한국에서 열린 두 올림픽의 마스코트로 선정되면서 그들의 상징성이 현대에 되살아났다.
Hodori was the mascot for the Seoul Summer Olympics in 1988.
호돌이는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의 마스코트였다.
It was a Siberian tiger, which represents courage.
그것은 시베리안 호랑이였는데, 그들은 용기를 상징한다.
The PyeongChang Winter Olympics in 2018 created Soohorang, a white tiger, as its mascot.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은 백호인 수호랑을 그것의 마스코트로 만들었다.
White tigers are considered sacred guardians.
백호는 신성한 수호자로 여겨진다.
Tigers are also mentioned in the K-pop song “Tiger is Coming.”
호랑이는 또한 한국 대중가요 ‘범 내려온다’에도 언급된다.
One verse of the song is a reinterpreted version of “Sugungga,” which is a traditional Korean song.
이 노래의 한 구절(가사)은 ‘수궁가’의 재해석판인데, 수궁가는 한국의 전통 가곡이다.
The song drew worldwide attention, and its video was viewed millions of times online.
그 노래는 세계적인 주목을 끌었고, 그것의 영상은 온라인에서 수백만 회 시청되었다.
These days, only a few wild tigers have been reported to be living in North Korea.
오늘날, 단 소수의 야생 호랑이만이 북한에 살고 있다고 보고되어 왔다.
However, the history, stories, and cultural meaning of tigers still have a place among modern Korean people.
그러나, 호랑이의 역사, 이야기, 그리고 문화적 의미는 현대 한국 사람들 사이에 여전히 자리하고 있다.
Who can deny that the tiger is a symbol of Korea?
호랑이가 한국의 상징이라는 점을 누가 부정할 수 있을까?
In 2021,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published a book that collects all the stories about tigers in Korea.
2021년에, 국립 민속 박물관은 한국의 호랑이에 관한 모든 이야기를 모은 책을 출판했다.
How about looking for tigers around you now?
이제 여러분 주변에서 호랑이를 찾아보는 것은 어떨까?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