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능률 공통영어2 본문(민병천, 2022) Lesson 3.3-3.4
10 카드 | netutor
세트공유
Some of you may have heard Korean folktales featuring tigers.
여러분 중 일부는 호랑이가 등장하는 한국 설화를 들어 봤을지도 모른다.
In fact, approximately forty percent of Korean folktales about animals include a tiger.
사실, 동물에 대한 한국 설화의 약 40%가 호랑이를 포함한다.
Tigers in Korean folktales are sometimes shown in a positive light and sometimes as foolish creatures.
한국 설화에서 호랑이는 때로는 긍정적인 시각, 그리고 때로는 어리석은 존재로 보여진다.
For example, in one story, a tiger helps a human become rich after the human saves the tiger’s life.
예를 들어, 한 이야기에서, 호랑이는 한 인간이 그 호랑이의 생명을 구해 준 이후 그가 부유해지도록 돕는다.
In another story, a tiger hears a mother tell her crying baby, “Don’t cry. Here’s a gotgam.”
또 다른 이야기에서, 호랑이는 한 어머니가 울고 있는 그녀의 아기에게 “울지 마. 여기 곶감이 있단다.”라고 말하는 것을 듣는다.
Because the baby stops crying, the tiger mistakenly thinks the gotgam is a very scary creature and runs away.
그 아기가 울기를 멈추었기 때문에, 호랑이는 그 곶감이 매우 무서운 생명체라고 잘못 생각하고 달아난다.
It seems that people at the time had conflicting feelings about tigers.
그 당시 사람들은 호랑이에 대해 상충되는 감정을 지니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ey had respect for tigers’power and courage.
그들은 호랑이의 힘과 용기에 대한 존경심이 있었다.
However, they were also scared of tigers because being injured or even killed by tigers was common in the past.
그러나, 과거에는 호랑이에게 상처를 입거나 심지어 죽임을 당하는 일이 흔했기 때문에 호랑이를 무서워하기도 했다.
They may have made tigers into foolish characters in order to be less scared of them.
그들은 호랑이를 덜 무서워하기 위해 호랑이를 어리석은 캐릭터로 만들었을지도 모른다.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