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학년 2학기 과학 1~3단원 우리가 낸 문제
66 카드 | mate56767
세트공유
최윤서 : 전기가 잘 흐르는 물질은_____이다
도체
김가은 : 전류가 흐르면 자석의 성질을 나타내고,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자석의 성질을 나타내지 않는 자석은 _____이다
전자석
김가은 : 전기가 잘 흐르는 물체는 _____이다
구리
박상아 : 전기회로에서 전지 두개 이상을 서로 다른 극끼리 연결하는 방법을 전지의 _____이라고 한다
직렬연결
박상아 : 서로 연결하여 전기가 흐를 수 있게 만든 것을 _____라고 한다
전기회로
이재영 : 전류는 _____흐른다
+극에서 -극으로
권예림 : 태양은 남쪽 하늘에 있을 때 고도가 가장 높습니다. 이때 태양이 남쪽 하늘의 중앙에 왔다는 의미에서 태양이 _____하였다 말한다.
남중
김수민 : 태양고도를 재려면 필요한 준비물 1가지를 적으시오
_____
유성펜
김가은 : 전지의 연결 방법이 같을 때 전구를 밝게 하려면 전구를 어떻게 연결하여야 할까요?
_____
병렬연결
류준혁 : 낮의 길이가 가장 긴 계절은 _____이다
여름
김효민 : 1년 중 가장 더운 절기는 _____이다
대서
권혜주 : 태양빛은 ( )을 데우고 데워진 ( )은 주변 공기를 데웁니다.
_____
지표면
권예림 : 여름의 절기중 하지는 _____이다.
양력 6월 21일경
이재영 : 발광 다이오드의 긴 다리는 전지의 ( )극 쪽에 연결하고 짧은 다리는 전지의 ( ) 극에 연결해야한다.
_____
+, -
박선영 : 양력 5월 21일경 모내기를 준비하는 절기는 _____이다
소만
현선아 : 여러가지 전기 부품을 서로 연결하여 전기가 흐를 수 있게 만드는 것은 _____이다
전기회로
최윤서 : 전자석을 만들 때 필요한 물품은 _____이다.
전지
박태호 : 전기 다리미, 전기 밥솥, 전기장판등의 전기 기구에 들어가는 물체는 _____이다.
바이메탈
권용욱 ; 적절한 조건이 되면 짧은 시간에 많이 늘어나게 되는 생물을 _____라고 한다.
세균
김재영 :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들어 살아가는 것은 _____이다
해캄
김재영 : 된장과 치즈등을 만들 때 도움이 되는 것은 _____이다.
곰팡이
김재영 : 버섯과 곰팡이, 효모와 같은 생물을 _____이라고 한다.
균류
류준혁 : 청명은 양력 _____이다.
4/4
김효빈 : 버섯과 곰팡이의 설명으로 맞는것은 ?
_____
꽃을 피우거나 열매를 맺지 않는다
심준범 : 음식을 상하게 하거나 우리 주변의 물건을 망가 뜨리는 이것은 _____이다.
곰팡이
권용욱 : 세균으로 만들 수 있는 음식은 무엇일까요?
_____
요구르트
권용욱 : _____은 하나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며, 동물이나 식물보다 단순한 구조이다.
세균
김효빈 : _____은(는) 끝이 둥근 원통모양이고 눈이나 코와 같은 감각기관은 없지만 빛과 같은 자극에 반응하여 움직인다.
짚신벌레
첨단생명과학으로 생물을 자동차연료로 만들 수 있습니다. 그 생물의 이름은 무엇일까요?
_____
해캄
김주성 : 첨단생명과학으로 _____을 활용하여 질병을 치료할 수 있다.
세균
심준범 : 이 생물은 물속에서 먹이가 되거나 산소를 공급합니다. 이 생물은 ?
_____
해캄
김주성 : 농약을 만들 때 _____을 활용하면 농작물을 지킬 수 있다.
세균
심준범 : 빵을 만들 때 빵을 폭신폭신하게 만드는 것은 _____이다.
효모
김홍희 : 버섯과 곰팡이가 사는 공통점은 _____이다.
따뜻하고 축축한 곳
정현우 : _____은(는) 건강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준다.
유산균
정현우 : 해캄말고 물에 사는 생물 중 식물처럼 광합성을 하여 스스로 양분을 만드는 생물은 _____이다.
장구말
정현우 : 버섯과 곰팡이 그리고 효모와 같은 생물을 _____라고 한다.
균류
김태민 : 세균이하는 일로 옳은 것은 ?
_____
질병을 치료하는 약을 만든다
김태민 : 생물 연료의 재료가 되는 생물은 _____이다.
해캄
김태민 : 스키장에서 인공으로 눈을 만드는데 _____을 활용한다.
세균
박태호 : _____는 높은 온도에서 쉽게 녹는 금속으로 만든 연결선이다.
퓨즈
박태호 : _____은(는) 전류가 흐르는 전선 주위에 자석의 성질이 나타난다는 것을 실험으로 보여준 덴마크의 과학자이다.
외르스테드
소룡 : 전기박사를 만들 때 선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
_____
건전지의 +와 전구의 +
소룡 : 다음중 전자석을 만드는 올바른 순서는?
_____
전선을 볼트에 고정->볼트에 전선 감기->전선고정->전기연결
소룡 : _____는 전선을 바르게 연결한 것인지 테스트할 수 있다.
발광다이오드
소룡 : 전선을 이용하여 나침반 방향을 바꿀때 N글에 +, S극에 -로 하여 스위치를 닫았을 때 N극은 어느쪽으로 돌아갈까?
_____
오른쪽
조보경 : 전자석은 _____과 다르게 전류가 흐르면 자석의 성질을 나타낸다.
영구자석
조보경 : 우리 생활에 전자석을 이용한 기구는 _____이다.
선풍기
윤태희 : 자전축의 기울기에 따른 태양의 남중고도와 낮의 길이를 측정할 때 있어야하는 준비물이 아닌것은 ?
_____
갓 있는 전기스탠드
김효민 : 절기란 태양의 위치에 따라 한 해를 _____으로 나눈 것이다.
24
박선영 : 태양의 고도가 높을 수록 그림자의 길이는 _____이다.
짧아
이찬빈 : 태양의 남중고도에 따른 기온을 측정하는 과정 중 틀린것은 ?
_____
전기스탠드를 켜고 4분이 지난 뒤에 각 모래의 나중 온도를 측정한다
최윤성 : 세균은 종류가 매우 많고 _____등 다양한 형태가 있다.
원통모양
최윤성 : 아메바와 _____은(는) 동물처럼 스스로 움직인다.
종벌레
윤태희 : 봄 중 3월 20일은 남중고도가 몇도일까요?
_____
52
변준혁 : 태양의 남중고도가 가장 낮은 달은 _____월이다.
12
권혜주 : 지구의 _____은 지구의 북극과 남극을 연결한 축으로 공전 궤도면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다. 지구는 이것을 중심으로 하여 하루에 한 바퀴씩 회전한다.
자전축
최윤성 : _____의 조명을 킨 후 짚신벌레 표본을 재물대에 올려놓고 고정합니다.
광학현미경
김수민 : 태양고도는 언제마다 달라질까요?
_____
하루마다
최윤서 : 전자석을 이용한 물체는 _____이다.
기중기
? : 하루중 기온이 가장 높은 때는 _____이다.
14:30
? : 낮의 길이가 가장 긴 달은 _____월이다.
6
이찬빈 : 인터넷을 이용하여 태양고도와 기온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사이트는 _____이다.
기상청
박상아 : _____은 온도에 따라 늘어나는 정도가 다른 금속 두 개를 붙여 만든 온도 조절 장치이다.
바이메탈
이재영 : _____은 높은 온도에서 쉽게 녹는 금속으로 만든 선이다.
퓨즈
김수민 : 봄에 절기 중 양력 3월 5일경 절기의 이름은 _____이다.
경칩
클래스카드의 다양한 학습을 바로 체험해 보세요!
고객센터
궁금한 것, 안되는 것
말씀만 하세요:)
답변이 도착했습니다.